인기 기자
(여객선침몰참사)'총체적 부실'이 빚어낸 대참사
선장은 '1호 탈출', 선사측 관리도 '주먹구구'
2014-04-20 10:46:03 2014-04-20 10:49:57
[뉴스토마토 신익환기자] '세월호' 침몰 사고가 발생한 지 닷새째를 맞았지만 아직까지 생존자 구조 소식이 전해지지 않으면서 실종자 가족 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다.
 
이번 세월호 침몰 사고는 운항관리매뉴얼 무시와 부실한 선원 교육, 허술한 출항 전 점검, 화물·차량 과적 등 총체적 부실이 부른 대참사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구속영장이 청구된 세월호 선장.ⓒNews1
 
◇'부실한 선원 교육'이 빚어낸 인재(人災)
 
지난 16일 오전 8시58분쯤 전라남도 진도 앞바다에서 여객선 세월호가 조난신호를 보낸 후 오전 9시부터 30분 동안 여섯 차례에 걸쳐  "선실이 안전하다"는 안내 방송이 나왔다.
 
그러면서 끝까지 남아 승객들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이준석(69) 선장은 가장 먼저 탈출했다. 배에 있던 총 46대 구명보트 중 유일하게 작동한 한 대를 본인이 타고 피신했다. 많은 국민들이 공분을 사고 있는 이유다.
 
또한 조난신호를 보내기 10분 전인 8시48분. 진도 앞바다 서가차도를 지나 병풍도를 향하던 세월호는 갑자기 급선회를 했던 사실이 밝혀졌다.
 
변침(방향을 바꾸는 것)에 실패한 세월호는 휘청거리며 왼쪽으로 크게 기울었다. 그 당시 배는 경력 1년의 25세 항해사가 조타수와 함께 몰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사고 순간 이준석 선장은 조타실에 없었던 것이다.
 
'세월호 운항관리규정' 비상부처 배치표를 보면 선장은 인명구조의 총 책임을 지고 1항사는 현장을 지휘하도록 돼 있다. 2항사는 응급처치와 구명정을 확인해야 하며 3항사는 선장을 보좌하고 기록, 통신업무를 맡는다.
 
갑판장은 익수자를 구조해야 하며 1타수는 조타요원 신호를 담당하고 2타수는 뗏목(구명벌) 투하, 갑판원은 익수자 정보, 기관장은 기관실 총지휘 해야 한다.
 
규정상 비상 때에는 선장의 지휘에 따라 안전조치를 해야 하며, 선장은 비상탈출구 위치 및 대피방법을 알려야 한다.
 
또 선장은 비상상황에 대한 선내 비상부서배치표를 작성해 조타실 등 가장 잘보이는 곳에 게시하고 반복훈련으로 승무원에게 주어진 임무를 숙지해야 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이번 사고에서 이러한 일련의 조치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운항관리매뉴얼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고, 선원들의 안전훈련 역시 그 동안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 증명됐다. 
 
◇선사측 '탑승객 관리'도 주먹구구
 
세월호 침몰 사고가 발생한 후 선사인 청해진해운은 탑승객 명단 조차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해 초기 탑승자 숫자가 오락가락했다.
 
이는 선사 측이 승객들을 탑승시킬 때 확인 절차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은 물론 화물차량 탑승객의 경우 탑승권 없이도 승차할 수 있는 빈틈을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청해진해운 측은 '현재 파악된 무임승선자가 있다. 신상은 공개할 수 없지만 화물차 기사의 부인이다'라고 뒤늦게 밝혀 당초 확정된 탑승객 475명보다 실제 탑승객 수는 1명이 늘어 476명으로 수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문제는 화물차량을 통한 무임승차 인원이 더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김재범 청해진해운 기획관리부장은 "개찰구 CCTV를 확인한 결과 확인된 탑승객수보다 적게 보고될 수밖에 없었다"며 "왜냐하면 받은 탑승권에 신상이 적혀 있지 않은 것들은 미상으로 분류해 빼버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확정된 명단(475명)에 없었는데 사망자가 또 나왔다"며 "현재 신원이 불분명한 탑승권과 명단에 없는 사망자에 대해 확인하고 있다"고 말해 현재 정부가 집계한 탑승객수 보다 실제 더 많은 승객이 있을 수도 있다는 의혹은 결국 사실이 됐다.
 
◇안전관리 감독, '고양이에게 생선 맡겨'
 
'세월호'에 대한 안전운항관리는 한국해운조합이 해왔던 것으로 밝혀졌다. 청해진해운 등 해운사의 회비로 운영되는 이익단체가 회원사의 승객 안전대책이 적절한지 감독해온 것이다.
 
때문에 항만에 드나드는 여객선의 승객 확인과 안전 관련 감시·감독, 안전교육이 부실해진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사건에서도 사고 발생 사흘째인 18일까지 세월호에 탄 승객 전체의 정확한 인적사항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해운조합이 임명한 운항관리자가 해운사의 안전관리 업무를 맡도록 정해놨다. 회원의 편익 향상을 최우선으로 하는 특정 조합에 감시권을 주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다.
 
해운사들은 해운조합이 운항관리 권한을 계속 갖길 바란다. 외부로 감독권이 넘어가면 안전감독이 까다로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해운조합은 해수부 출신 관료에게 '전관예우' 차원에서 이사장 자리를 내준 경우가 많다.
 
실제 지난해 9월 취임한 주성호 이사장도 해수부 출신으로 국토해양부 2차관을 지냈다. 1962년 이후 이사장을 지낸 12명 중 9명이 해수부 관료 출신이다. 
 
이처럼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것'과 다를 바 없는 허술한 감독체계가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비극을 불러 일으켰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