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美 석유 직접 캔다..광구 2곳 인수
일일 원유생산량 3250배럴 늘어나.."추가 시추 통해 생산 증가 기대"
2014-04-07 11:07:23 2014-04-07 11:11:49
[뉴스토마토 양지윤기자] SK이노베이션이 미국 현지에서 석유 생산광구 운영권을 확보했다. SK이노베이션이 생산광구를 직접 운영하게 된 것은 지난 1983년 해외자원 개발 사업을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SK이노베이션은 7일 최근 설립한 자회사 'SK E&P 아메리카'를 통해 미국 석유개발회사 플리머스와 케이에이 헨리가 보유한 미국 내 석유 생산광구 2곳 지분을 전량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K E&P 아메리카는 SK이노베이션이 미국 석유개발 사업을 전담시킬 목적으로 지분 100%를 출자해 지난달 21일 휴스턴에 설립한 현지 법인이다.
 
인수 지분은 각각 오클라호마 소재 그랜트·가필드 카운티 생산광구의 지분 75%와 텍사스 소재 크레인 카운티 생산광구의 지분 50%다. SK이노베이션이 두 생산광구의 지분 매입에 투입한 자금은 총 3871억원이다.
 
2011년부터 개발된 그랜트·가필드 카운티 생산광구는 현재 하루 2500배럴, 2012년부터 개발된 크레인 카운티 생산광구는 하루 750배럴의 원유를 각각 생산 중이다. SK이노베이션은 그랜트·가필드 광구에서 추가 시추를 통해 생산량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두 광구를 인수함에 따라 SK이노베이션의 일일 원유 생산량은 현재 약 7만1000배럴에서 약 7만4250배럴로 3250배럴 늘어나게 됐다. 전 세계 15개국에서 7개 생산광구, 15개 탐사광구 등 총 22개 광구와 4개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참여해 위상을 공고히 다지게 됐다.
 
SK이노베이션은 광구 운영권을 확보해 석유개발사업의 전문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전기를 마련했다. SK이노베이션은 유공 시절인 1997년 텍사스와 루이지애나의 5개 생산광구에 지분을 투자한 적이 있으나 운영권을 확보하지는 못했다.
 
회사 관계자는 "생산광구 운영 과정에서 세계 3위 산유국인 미국의 최신 석유개발 기술과 노하우를 습득해 석유개발사업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의 미국 석유개발 사업은 2000년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광구 지분을 매각한 이후 한동안 소강 상태를 보였다. 그러나 최태원 회장이 '자원부국 경영' 드라이브를 본격화한 2000년대 중반부터 다시 시동이 걸렸다.
 
SK이노베이션(096770)은 "석유개발을 제대로 하려면 본고장인 미국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야 한다"는 최 회장의 독려에 따라 2005년 루이지애나주 가스전 탐사 사업에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미국 석유개발 사업 강화를 추진했다. 2010년에는 휴스턴에 자원개발기술센터(EPTC)를 세워 지질학자 등 전문인력 확보에 나섰고, 지난해에는 E&P CIC(회사 내 회사) 출범과 함께 이 센터를 E&P미주본부로 확대 개편했다.
 
김정기 SK이노베이션 홍보실장은 "SK이노베이션은 자원개발 사업을 미래 성장 동력의 한 축으로 제시한 최태원 회장의 경영전략에 따라 '자원영토' 확장에 박차를 가해왔다"며 "향후 미국 시장에서 석유개발사업 경쟁력을 높인 뒤, 장기적으로 셰일가스 등 비전통자원 개발 역량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