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상생委 운영 한 달..해법 찾기 '난항'
2013-12-06 16:21:45 2013-12-06 16:25:23
[뉴스토마토 정해훈기자] 롯데그룹이 야당과 함께 상생 방안을 협의하기로 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좀처럼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과 민주당 을지로위원회는 오는 9일 제2차 상생협력위원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4일 양측은 민주당 김현미 의원, 노병용 롯데마트 사장을 공동위원장으로 선임하고, 첫 위원회를 열었다.
 
위원회는 5대 의제별 분과를 운영하고, 을지로위원회 소속 의원과 롯데월드,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슈퍼, 코리아세븐 등 계열사 임원이 참여하기로 했다.
 
하지만 시민단체와 가맹점주 모임 등이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계열사로 꼽은 편의점 세븐일레븐이 점주들과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위원회 운영에 차질을 빚게 됐다.
 
시민단체는 롯데의 불공정행위가 편의점에서부터 본격적으로 거론된 점, 계열사 중 가맹점이 가장 많다는 점 등을 들어 세븐일레븐을 비중 있는 계열사로 꼽고 있다.
 
세븐일레븐 본사는 지난 2일과 5일 세븐일레븐바이더웨이가맹점주협의회와 대화를 시도했지만, 서로의 견해차만 확인했다.
 
피해 가맹점주의 보상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본사의 주장에 협의회는 피해 보전과 제도 개선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맞선 것으로 전해졌다.
 
협의회 관계자는 "단순한 피해자 보상에 그칠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제도를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며 "특히 본사에서 전직 점주는 교섭에서 배제하겠다는 태도를 고수하면서 더 이상의 논의가 진행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9일 예정된 제2차 위원회에 피해 당사자인 가맹점주협의회가 참여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한편, 롯데마트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발표한 판매장려금, 판촉사원 운영, 인테리어비 부담 등 각종 제도 개선에 동참하겠다고 지난 4일 밝혔다.
 
우선 협력사가 예측하지 못한 비용 부담을 일소하기 위해 장려금 대상을 협력사 이득이 수반되는 조건으로 압축해 진행하고,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
 
또한 협력사의 판촉사원 운영의 자발성을 보장하기 위해 '파견 가능 점포와 인원수'를 기재하고, '연중 상시 파견과 단기 파견'을 선택할 수 있도록 거래계약서를 보완한다.
 
이와 함께 계약 기간 중 유통업체의 요구로 변경된 인테리어의 설비 비용에 관해 잔존가를 보상해 오던 기존 제도를 보완해 최근 개정된 인테리어비 분담에 대한 원칙에 따라 계약서에 반영하게 된다.
 
◇(사진=뉴스토마토DB)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