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대별 공공요금 차등화..물가상승 '해법'
2012-04-01 17:00:39 2012-04-01 17:00:39
[뉴스토마토 임애신기자] 출퇴근 시간에 버스 요금을 비싸게 책정하고 그 외 시간대에는 저렴하게 책정하면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물가인상 효과를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일 "지하철·버스 등의 공공요금을 차등화하면 물가상승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비용·수요 측면의 물가 상승 압력은 여전히 높다"고 지적했다.
 
실제 도시가스 요금의 경우 지난 1·2월 각각 10%, 시내버스 요금은 최근 3개월간 지난해 같은 달보다 6.5% 이상 올랐다.
 
연구원에 따르면 공공요금이 10% 오르면 소비자물가는 2.24% 상승한다.
 
특히, 소비자물가 상승률에서 석유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1월 80%대, 2월에는 90%대로 연일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연구원은 "이란 사태 장기화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과 신흥국의 원자재 수요 증가, 곡물 가격 상승세는 앞으로 물가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통화량이 꾸준히속 늘어나는 것도 물가 위험신호로 꼽았다. 시중에 풀린 본원통화는 2009년 상반기 말 60조원에서 올해 1월 82조원으로 20%나 늘어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있다.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1월(4.1%), 2월(4.0%), 3월(3.9%) 모두 실제 소비자물가보다 높은 상태다.
 
연구원은 "식료품 등 생필품의 유통구조를 효율화하고 가격 모니터링해 가격 상승폭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기준금리와 관련해서는 경기 회복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적정 수준으로 산정해야 한다고 권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