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싱경제) 블랙박스 "당신이 어제 한 일을 알고 있다"
2011-07-06 08:45:03 2011-07-06 08:45:15
[뉴스토마토 이형진기자] - 진행 : 임효주 기자
▲ 출연 : 이형진 기자
 
=============================================
- 이기자! 최근 가수 대성씨의 교통사고 블랙박스 영상이 공개 되면서 요즘 차량용 블랙박스가 꼭 필요하다는 말을 많이 듣는데요. 블랙박스 하면 항공기 사고 시에 사고의 원인 등을 밝히는 데 쓰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차량용 블랙박스도 항공기 블랙박스와 같은 것인가요?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차량용 블랙박스와 항공기 블랙박스는 사고의 예방과 사후 증거력을 갖는다는 점에서는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고는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이미 일어난 사고의 원인을 정확히 조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사고 원인 조사를 통해 차량사고의 시시비비를 가리고 재산상의 손해와 억울함을 입지 않게 되는것이지요.
 
목격자나 CCTV가 없는 경우라면 사고 원인을 밝히는데 큰 어려움을 겪기 마련인데요. 차량용 블랙박스가 있으면 정확한 사고원인을 밝힐 수 있는 거죠.
 
 
- 자동차 사고를 당하고 원인 규명이 어려워서 억울한 일을 겪은 분들이 많으신데, 그 대안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차량용 블랙박스도 종류가 다양할 것 같은데, 그 종류와 가격에 대해서 설명해 주시죠.
 
▲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요즘에는 항공기 뿐 아니라 자동차에도 블랙박스가 설치됩니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EDR(Event Data Recorder)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주로 카메라 의 형태를 갖추고 있습니다. 주로 차량 내부 룸미러 근처에 설치하며, 차량 전방을 동영상으로 기록합니다. 버스나 택스등은 차량 전방과 내부를 기록하기도 합니다.
 
승용차일 경우에는 대부분 전방을 촬영합니다. 가격은 10만원중반대에서 20만원 후반 대 제품이 대다수 입니다. 최근에는 고화질(HD)의 영상을 제공하면서 130도의 넓은 시야각을 갖는 제품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 카메라로 동영상을 기록하는 방식이라는 설명이군요. 그런데 자동차 사고가 이동 중일 때만 나는 건 아니쟎아요, 요즘 집이나 이동 후 주차 중에도 차량 충돌사고가 나는데 이럴 경우에도 영상을 촬영하나요?
 
▲ 네. 시판중인 블랙박스는 총 4가지의 촬영모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상시녹화, 충격녹화, 주차녹화, 수동녹화가 그것인데요. 상시 녹화는 블랙박스 전원이 들어온 상태에서 항상 녹화하는 것이고요. 충격녹화는 자신의 차량에 충격이 가할 시 충격 전후의 약 15초씩 총 30초를 기록합니다.
 
또한 주차녹화는 주차 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면 역시 총 30초를 기록하고, 수동녹화는 운전자가 수동녹화 버튼을 누르면 수동으로 녹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 상시녹화, 충격녹화, 주차녹화, 수동녹화를 모두 활용한다면 사고 원인 규명의 상당 부분에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 외국은 블랙박스 장착이 의무화 되어 있다고 알고 있는데,
국내시장은 어떤가요?
 
▲ 선진국인 유럽과 미국 등은 차량용 블랙박스의 채택이 늘어나고 장착 의무화에 맞춰 차량용 블랙박스 보급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유럽은 지난 2010년부터 모든 차량에 장착의무화 했고, 미국은 올해부터 4.5톤 이하의 모든 차량에 블랙박스 장착을 의무화 하고 있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전세계적 자동차 판매1위를 기록한 중국은 급증하는 교통사고를 잡기 위해 도로교통법을 개정해 모든 트럭, 버스, 택시에 첨단 운행기록장치 부착을 의무화 했습니다.
 
또한 일본은 가장 빠른 지난 2004년에 차량용 블랙박스 도입을 실시했고, 현재 후지택시와 MK택시등 대형 택시회사들을 중심으로 차량용 블랙박스 장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국토해양부가 지난 2009년 12월 29일 버스와 트럭, 택시 등 약 90만대정도의 상업용 차량에 대한 디지털 운행기록계 장착을 의무화하는 ‘교통안전법’ 개정안을 확정하여 공포했습니다.
 
또한 서울시와 대구시 등 지자체를 중심으로 개인택시와 법인택시 등에 대하여 차량용 블랙박스 장착을 추진 중입니다.
 
그러나 1700만대에 이르는 승용차는 아직 블랙박스 장착의무화가 입안되지 않았고, 현재 7~8개 자동차 보험회사가 블랙박스를 장착한 차량에 대해 3~4%의 보험료를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 블랙박스를 장착해서 사고에도 대처하고 보험료 할인도 받을 수 있다는 점은 많은 분들이 아직 모르고 계실 수 있을 것 같은데 챙겨야 할 숨은 포인트인 것 같네요. 그런데, 이기자. 이름으로 미루어 보건데, 블랙박스는 다 검은색인가요?
 
▲ 블랙박스(Black Box)라는 명칭은 본래 공학 용어입니다. 그래서 검은색으로 오해할 수 있는데요. 실제 그렇지 않습니다.
 
항공용 블랙박스는 검정색이 아닌 오랜지 색이나 노란색, 혹은 빨간색인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항공기가 산지나 바다에 추락한 경우 블랙박스만은 최대한 눈에 잘 띄어야 하기 때문이죠. 차량용 블랙박스는 검정색과 같은 어두운 색이 대부분 입니다.
 
뉴스토마토 이형진 기자 magicbullet@etomato.com

- Copyrights ⓒ 뉴스토마토 (www.newstomat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