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진하 기자]
KT(030200)가 공정하고 투명한 구매를 실현하고 AICT(AI+ICT) 기업으로 전환을 가속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통신 중심의 구매 및 협력사 관리 프로세스를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AICT 전 분야에 맞게 개선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차세대 구매 플랫폼에 AI 기능을 도입한 서비스를 개발 중이며, 이를 통해 업무효율성을 높이겠다고 전했습니다.
7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에서 개최된 제10회 KT 파트너스데이 2025에서 임현규 KT 부사장(경영지원부문장)이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사진=KT)
KT는 7일 서울 소피텔 앰배서더에서 협력사와 성과 공유 및 소통을 위한 '제10회 KT 파트너스데이 2025'를 개최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서 김대은 구매혁신 담당 상무는 "차세대 플랫폼에 AI 기능을 도입해 구매 물품을 관리하고, 매년 물품의 재계약을 위한 단가 협상 등의 기능을 추가해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올해 2월 중 베타 서비스를 할 계획인데, AI와 전자계약 시스템이 잘 적용된다면 협력사와 임직원의 업무 효율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술을 통한 비용절감에 대한 질문에는 "비용절감을 위한 시스템 도입이라기보단 업무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앞서 KT는 AI사업을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손을 잡았는데요. 이에 개발 중인 차세대 구매 플랫폼도 MS와 함께하는 것인지 관심을 모았는데요. 여기에 대해서는 "협력관계를 통해 어떤 서비스를 도입할지 고민 중"이라며 "MS가 제공하는 AI 모델이 KT가 요구하는 것을 다 반영할 수 있는지 현재 검증 중이고, 검증이 끝나면 결정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T는 올해 품질과 경쟁을 핵심 키워드로 삼고 협력사와 관계 관리 원칙을 정립했는데요. 3~5년 주기로 '품질 최우선 경쟁'을 시행해 협력사를 재구성하는 '협력사 순환 체계'를 도입합니다. 기존 협력사 운영 방식을 탈피하고, 우수 공급사의 시장 진입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위해 협력사 간 경쟁입찰을 통해 물량을 차별화하고 필요한 경우 협력사 풀에 없는 우수 외부 공급사가 경쟁에 참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습니다. 더불어 협력사의 수의계약을 불가피한 분야로 제한해 경쟁구도를 활성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제10회 KT 파트너스데이 2025에서 우수협력사로 선정된 기업 임직원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KT)
다만 경쟁 강화가 협력사에는 부정적일 수 있다는 문제도 지적됐는데요. 여기에 서은일 상무는 "KT는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ACT도 잘하는 기업으로 탈바꿈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협력사와 갈등이 생기지 않도록 협력사와 계약이 종료가 된다면 사전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조율해 나가겠다"고 답했습니다.
또 기존 협력사 분류 체계를 AICT에 맞게 바꾸는데요. 기존에는 협력사를 'SW 개발'·'물자'·'공사'·'용역'으로 나눠 관리했지만, 앞으로 SW 개발은 'AI·IT'로 변경해 오픈형으로 운영됩니다. 이에 따라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야의 모든 기업이 협력사로 선정될 수 있는데요. 물자의 경우 '장비·자재'로 세분화돼 ICT를 포함한 DX영역의 협력사를 구성하고, 공사는 '공사·수행', 용역은 '용역·설계'로 업무 수행 범위가 확장됩니다.
끝으로 KT는 KT그룹이 준수해야 할 구매 원칙을 정하고 실행에 나서는데요. 앞으로 KT그룹은 △모든 구매를 구매부서 관리하에 운영하고 △모든 계약은 경쟁을 원칙으로 하며 △협력사 선정을 투명하게 하고 절차 외 임의 선정은 금지하고 △관계 법령 준수 및 업무 윤리를 확립해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원준 KT 구매실장 전무는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와 우수 공급사의 신규 진입 기회 확대를 위해 구매업무 제도와 프로세스 혁신을 강력히 추진할 것"이라며 "KT는 청탁을 근절하면서도 우수한 공급사와 거래는 언제든 열려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진하 기자 jh3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