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국내 백신 산업 육성…'선제적 지원·인력' 해결이 우선
백신 산업에 대한 첫 실태조사
159개 백신 기업 대상…백신산업 매출·수출·고용·투자 등 조사
"정부가 국정과제로 삼고 계속된 지원 필요"
선제적 지원·식약처 허가 인력 전문성 향상·컨소시엄 구축 후 지원
2022-12-08 06:00:00 2022-12-08 06:00:00
 
SK바이오사이언스 연구원.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뉴스토마토 고은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국내 백신 산업이 성장했다. 다만 정부의 선제적인 지원과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이 우선순위로 꼽힌다.
 
8일 보건복지부(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에 따르면 159개 백신 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백신 산업의 매출, 수출, 고용, 투자 등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백신 산업 국내 매출은 총 3조4178억원으로 조사됐으며, 분야별로는 △백신 완제품 2조 6865억원 △백신 원부자재 865억원 △백신 장비 694억원 △백신 관련 서비스 6361억원으로 나타났다.
 
백신 산업 수출은 총 6287억원으로 조사됐으며, 분야별로는 △백신완제품 5637억원 △백신 원부자재 1410억원 △백신 장비 430억원 △백신 관련 서비스 763억원으로 집계됐다. 
 
백신 산업 투자는 총 3314억원으로 △연구개발비 2140억원 △시설투자비 1174억원이다. 백신 기업에 종사하는 인력(백신관련 부서만 포함)은 1만758명으로 직무별로 △생산직 4715명(43.8%) △연구직 2772명(25.8%) △영업·관리 등 기타 3271명(30.4%)이다.
 
이번 실태조사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정밀화학산업진흥회, 한국평가데이터 등에서 진행됐고, 백신 산업에 대한 첫 실태조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사전에 관련된 분야 전문가 논의를 통해 백신 산업 분류체계를 마련하고 국내 백신기업 159개 사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국내 백신 산업 연구개발 애로사항을 보면 '연구개발 자금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개발 인력 부족, 연구장비 등 인프라 부족, 백신 원부자재 확보 어려움, 기초기술 보유 부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백신 산업이 향후 바이오 산업을 선도하는 탄탄한 중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 규모를 키우고(Scale-Up), 성장주기 맞춤형 지원을 적시 제공한다"며 "백신의 개발-생산-수출 전과정에 단절 없는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 (사진=뉴시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 원장은 "신종 바이러스성 감염병은 5년 주기로 발생하고 있다"며 "이에 연동돼 연구개발 예산이 충분히 지원되면 자연스레 인력도 양성할 수 있는 연계 시스템이 구축된다"고 말했다.
 
정윤택 원장은 "최근에 K-NIBRT가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GMP)와 백신 분야에서 인재를 일부 양성하고 있다"라며 "정부가 국정과제로 삼고 계속된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국형 나이버트(K-NIBRT)는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2020년부터 복지부와 산업부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교육기관으로 인천시와 연세대학교가 사업을 수행 중이다. 정부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아일랜드의 바이오 공정 교육기관(NIBRT)의 프로그램을 도입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시범 교육을 실시하고, 2024년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를 완공할 계획이다.
 
마상혁 대한백신학회 전 부회장은 국내 백신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백신 개발 능력이 있는 기업에 선제적 지원 △식약처 허가 인력 전문성 향상 및 충원 △식약처 규제 완화 필요 △컨소시엄 구축 후 지원 등으로 꼽았다.
 
마상혁 전 부회장은 "국가의 정책은 백신 개발을 제대로 할 수 있는 기업에 집중적으로 지원해야되는데 지금처럼 문어발식으로 지원하면 제대로 된 결과물이 도출되지 않는다"라며 "식약처는 허가기관으로서 허가 인력의 전문성이 떨어지고 인력이 부족해 백신 등을 허가하고 진행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상혁 전 부회장은 그동안 정부에선 백신 개발을 국가 주도형으로 시행했지만, 정부 기관은 백신 개발에 있어서 능력 있는 민간 업체들을 대상으로 컨소시엄을 형성해서 지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결국 국내 백신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백신 업계가 투자했을 때 투자에 대한 이익이 생겨야 한다는 것이다. 백신 업계가 충분한 이익이 발생되기 위해선 국가의 끊임없는 지원 등이 이뤄져야 한다. 
 
그는 "현재 이런 부분들이 잘 안되고 있다는 게 큰 문제이고, 전문성이 미비한 공무원이 충분한 정책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단점에 해당한다"고 진단했다.
 
고은하 기자 eunh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