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AI로 루게릭병 환자 '목소리 복원' 지원
2022-04-20 10:41:46 2022-04-20 10:41:46
[뉴스토마토 홍연 기자] KT(030200)가 사고나 질병 등으로 후천적으로 목소리를 잃은 이들의 목소리를 복원해주는 ‘목소리 찾기’ 프로젝트를 이어간다.
 
KT는 루게릭병 환우를 위한 비영리재단법인 승일희망재단과 협력해 점차 목소리를 잃어가고 있는 루게릭병 환우 8명의 목소리를 복원하고, 모바일 앱 ‘마음톡(TALK)’을 통해 이 목소리를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무상 지원했다고 20일 밝혔다.
 
루게릭병은 운동 세포가 파괴돼 신체 근육이 약화하는 병이다. 혀의 근육이 약해질 경우 분명한 발음이 점차 어려워진다. 마비가 진행돼 기도를 절개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면 결국 완전히 목소리를 잃게 된다. 
 
이번 목소리 복원에는 KT가 보유한 국내 최고 수준의 개인화 음성합성기술(P-TTS)이 활용됐다. 적은 양의 음성 샘플만으로도 딥러닝 기반 AI 학습을 통해 사람의 음색, 어조, 말투 등을 반영한 목소리를 그대로 구현해낼 수 있다. KT는 환우들이 스마트폰으로 500개의 대화체 문장을 녹음해 전달한 오디오 파일을 바탕으로 이들의 음성 샘플 데이터를 교정하고 목소리를 생성했다.
 
루게릭병 환우들이 KT의 마음톡 앱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이 앱이 해당 환우의 목소리로 읽어준다. 앱은 텍스트를 음성으로 1초 내외로 변환해준다. 음성 및 영상통화도 가능하며, 음성통화 도중 끊김없이 영상통화로 전환할 수도 있다.
 
KT와 루게릭병 환우와의 인연은 KT 고객센터에서부터 시작됐다. 한 환우의 부인이 남편이 목소리를 잃은 후에도 자녀들이 아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기가지니 ‘내 목소리 동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지 문의해 온 것이다. 3개월 후 이 환우는 결국 기도 절개술을 받게 됐지만 가족들은 복원해 놓은 아빠의 목소리를 기가지니 ‘내 목소리 동화’와 ‘마음톡’ 앱을 통해 계속해서 들을 수 있게 됐다.
 
이후 이 가족들은 비슷한 상황에 놓인 환우들에게 KT 마음톡 앱을 소개했고, 이를 계기로 KT는 승일희망재단을 통해 목소리 복원 희망자들을 추천받을 수 있었다.
 
김무성 KT ESG경영추진실 상무는 "목소리 찾기 프로젝트와 같이 앞으로도 KT가 가장 잘할 수 있는 기술과 솔루션으로 다양한 영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KT 융합기술원에서 AI 기술을 활용해 루게릭병 환우의 목소리 복원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KT)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