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고재인

jiko@etomato.com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토마토칼럼)금융노조 총파업, 오히려 구조조정 ‘부메랑’ 될 수 있다

2016-09-21 15:04

조회수 : 6,081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지금으로부터 2년 전인 2014년 9월.
 
금융노조는 정부의 공공기관 복지 축소를 이유로 총파업을 추진했다. 금융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국민들이라면 기억할 것이다.
 
당시 총파업은 ‘실패’로 평가를 받고 있다.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국민들이 빚에 허덕이고 있는데 복지를 이유로 총파업을 벌였으니 명분도 잃고 호응도 얻지 못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 후 꼭 2년이 흐른 2016년 9월.
 
금융노조가 또 한 번 배수의 진을 치고 고심 끝에 총파업을 결의했다. 이번엔 성과연봉제 도입을 저지하는 게 목표다.
 
그런데 이번 총파업은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참여 규모면에서는 2년 전 3만명에 비해 3배 가까이 늘어난 9만명 수준이다.
 
금융노조가 지난 6월19일 전체 조합원 9만51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파업 찬반 투표에서 참여 인원 8만2633명(87%) 중 무려 8만9068명(95.7%)이 찬성한 것도 상황이 심상치 않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성과연봉제는 생존 문제’라는 인식이 위기감을 자극했다.
 
여기에 이번 총파업이 실패할 경우 금융노조에 대한 신뢰도를 회복하기 힘들 정도로 추락할 것이란 점도 ‘결집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하지만 금융노조는 깊은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총파업이 오히려 금융시장 구조조정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도 있다는 점 때문이다.
 
즉, 이번 총파업의 중심에 현장 근무 직원들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
 
이제는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생태계가 완전히 바뀌는 변혁기에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터치 몇 번에 은행 업무는 간단히 해결된다. IT분야의 급격한 발전이 견인차 역할을 했다.
 
때문에 금융 소비자들이 은행 창구를 직접 방문하는 일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핀테크(금융+IT) 도입이라는 이슈가 대표적인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창구영업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
 
현장 근무 직원들이 중심이 된 총파업을 단행했음에도 금융 소비자들이 큰 불편을 겪지 않는다면 국민들은 무슨 생각을 하게 될까.
 
“총파업에 참여한 직원들이 없어도 금융권은 무리 없이 돌아가는구나.”
 
이 판단을 하는 순간 국민들은 은행 인력 구조조정에 찬성표를 던질 것이다. 은행원 입장에서 끔찍한 일이다.
 
정부의 입장 역시 지지받기는 어렵다.
 
정부는 금용노조가 예정대로 오는 23일 총파업에 돌입한다면 금융감독원 직원들을 은행 현장에 투입해 불법 여부를 감시하고 공권력 투입까지 고려한다며 엄포를 놨다. 협상 테이블은 전혀 마련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몰아붙이고 있다.
 
정부의 이 같은 맹목적인 태도는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의문스럽다. 혹시 발생할지 모를 소비자 피해를 방치하며 정부의 방침만을 따르라며 압박하고 있는 것이다.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경우 정부도 그 책임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총파업까지 이틀 남았다. 정부와 금융노조는 당장이라도 협상 테이블을 만들어 머리를 맞대야 한다. 국민, 정부, 금융노조 모두가 손해 보는 뻔한 총파업은 의미가 없다.
 
고재인 금융부장 jiko@etomato.com
  • 고재인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