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진 경제부
김보연 금융증권부
유태영 산업2부
이진하 뉴스리듬
김한결 금융증권부
윤영혜 산업1부
최우석 사회부
황한울 방송진행팀
신유미 금융증권부
박종찬 뉴스리듬
신대성 금융증권부
오승주 사회부
김진양 정치부
박주용 정치부
권익도 대중문화부
홍연 산업2부
이종용 금융증권부
박진아 정치부
정해훈 경제부
김재범 대중문화부
김광연 정치부
심수진 중기IT부
신태현 탐사보도부
박준형 금융증권부
박용준 뉴스리듬
김나볏 중기IT부
장성환 사회부
이범종 중기IT부
박한솔 사회부
백아란 산업2부
최성남 금융증권부
조용훈 경제부
최병호 탐사보도부
윤민영 사회부
한동인 정치부
이보라 중기IT부
표진수 산업1부
임유진 산업1부
윤혜원 정치부
신상민 대중문화부
유연석 사회부
김수민 사회부
김기성 국장석
이지유 산업2부
안창현 사회부
김의중 금융증권부
이재영 산업1부
황준익 산업1부
김충범 산업2부
고재인 산업1부
변소인 중기IT부
이규하 경제부
황방열 정치부
유근윤 금융증권부
김은별 방송진행팀
허지은 금융증권부
이민우 경제부
김성은 산업2부
이지은 중기IT부
최수빈 정치부
이승형 국장석
최신형 정치부
신지하 산업1부
이승재 산업1부
고은하 산업2부
정광섭 국장석
강영관 산업2부
오세은 산업1부
이혜현 산업2부
배덕훈 중기IT부
보안 AI 엔진 ‘소스코드 이해’ 능력 필수…국내 AI 보안 솔루션 ‘태동’ 단계
국내 정보보호 업계에 인공지능(AI) 도입을 위한 전문 엔진 개발과 안전성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애플의 '시리' 등 기존에 알려진 음성인식의 AI와 달리 정보보호시스템이나 솔루션에 AI가 적용되려면 전문 엔진이 필요하고 해킹에 대비한 안전성도 필수다. 정보보호 솔루션에 적용될 AI 엔진은 소스코드를 이해하는 능력이 우선 요구된다. 기존의 시스템을 이해하고 침입을 ...
유료방송 발전·TV홈쇼핑 불공정 개선 방안 논의
유료방송산업의 현안들을 논의하기 위해 산업계·학계·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뭉쳤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21일 산학연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유료방송산업 발전위원회’(이하 위원회)를 발족하고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다. 위원회는 최재유 미래부 2차관과 유의선 이화여대 교수를 공동 위원장으로, 학계·연구기관·사업자·협회·소비자단체 등 18명으로 구성됐다....
스마트폰 제조사·앱 개발사 적용…장애인 불편 초래시 과태료
앞으로 제작되는 스마트폰과 애플리케이션(앱)에는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음성 등의 기능이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립전파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을 국가표준으로 제정했다. 장애인이나 고령층 등 정보취약계층이 일반인과 동등하게 모바일 앱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앱을...
국내서 여전히 노트7 50만대 사용중…iOS 전환·펜기능 없어 부담
삼성전자(005930)의 갤럭시노트7 사용자들이 애플의 아이폰7을 선택할지에 IT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화면과 S펜이라는 특성을 지닌 노트 시리즈는 충성 고객층이 두텁다. 때문에 이들이 어떤 제품을 선택할지가 갤럭시 시리즈와 아이폰에 소프트웨어나 부품을 공급하는 국내 주요 IT 기업들에게는 초미의 관심사다. 한글과컴퓨터(030520)는 예전 갤럭시노트와 갤...
미래창조과학부의 스타트업(초기 벤처기업) 지원 사업 ‘K글로벌 300’이 상반기 총 1009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전년 동기 대비 122.7% 투자금을 끌어올렸다. K글로벌 300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유망기업 300개를 선정해 성장 단계별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창업벤처 지원 사업의 수혜 기업이 200개, 창조경제혁신센터 보육기업 100개로 구성됐다. 5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산업현장의 보안이슈에 대한 아이디어를 솔루션으로 구현하는 ‘정보보호 해커톤’을 개최한다. 해커톤은 해킹과 마라톤의 합성어로, 일정기간 동안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대회를 말한다. 공모 및 접수는 오는 5일부터 28일까지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되며, 정보보호 전문가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IBM...
아이디어 제안·사업화 지원 플랫폼…민관 합동 사업화 멘토링 제공
미래창조과학부의 온라인 플랫폼 ‘창조경제타운’이 오는 30일로 출범 3주년을 맞는다. 창조경제타운은 사업화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미래부·중기청·특허청 등 10개 정부부처와 삼성·포스코 등 민간기관의 41개 사업과 연계해 기술 개발·기술 권리화·시제품 제작·자금 지원 등 사업화에 필요한 지원을 해준다. 지난 3년간 창조경제타운에는 350만명이 방문해 약 3만...
지원금상한제 폐지·분리공시제 도입 등 발의…이통사·제조사 반대에 직면
20대 국회 들어 발의된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의 개정안은 총 5건이다. 지난 19대 국회에도 5건의 단통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임기 만료로 자동 폐기됐다. 20대 국회의 단통법 개정안은 지원금상한제 폐지와 분리공시제 도입을 비롯해 선택약정할인율을 기존 20%에서 30%로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특히 소비자 입장에서 눈길을 끄는 법안이 지원금상한제 폐지다. 지원금상...
보안·관리 효율성 ‘증대’…스마트폰 제조사에 ‘기회’
스마트폰에서 가벼운 업무처리 등이 늘어나면서 기업용 MDM(모바일 기기 관리) 시장이 스마트폰의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는 아직 미국·일본 등에 비해 기업용 MDM 시장 규모가 작지만 금융권과 기업들을 중심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MDM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에서 업무를 볼 때 기업의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단말기에 설치하는 보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