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광연

(영상)윤석열-안철수의 공동정부, 권력분점 어디까지?

안철수 "단일화 아니면 윤석열 졌다"…공로 앞세우며 공동정부 압박

2022-03-13 17:24

조회수 : 3,336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윤석열(오른쪽) 제20대 대통령 당선인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지난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국민의힘 제 20대 대통령선거 개표상황실'을 찾아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토마토 김광연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단일화 덕에 대선에서 이겼다'는 자신의 역할론을 강조하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의 공동정부 운영 의지를 계속해서 내비치고 있다. 하지만 단일화 효과가 미지수인 데다, 현실적으로 권력 분점이 가능하겠느냐는 회의론도 만만치 않다.
 
안 대표는 13일 차기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에 선임됐다. 윤 당선인의 제안을 안 대표가 받아들인 것으로, 두 사람이 합의했던 '통합정부'의 첫 걸음을 떼는 순간이었다. 안 대표는 인수위원장을 맡음으로써 공동정부 운영의 밑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됐다. 그는 차기 국무총리 1순위로도 꼽히고 있다.
 
윤 당선인과 안 대표는 지난 3일 단일화 합의 후 발표한 공동선언문에서 "대통령 혼자서 국정을 운영하는 정부가 아니라 협치와 협업의 원칙 하에 국민께 약속드린 국정 파트너와 함께 국정운영을 해나가겠다"고 했다. 인수위원회 구성부터 공동정부 구성까지 함께 협의하고, 선거 직후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합당도 추진키로 했다.
 
윤석열(왼쪽)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국민의힘 제 20대 대통령선거 개표상황실'을 찾아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과 손을 잡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안 대표는 자신이 결행한 단일화 덕에 윤 당선인이 이길 수 있었다며 역할론과 공동정부론을 거듭 밝히고 있다. 지난 11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단일화를 하지 않았으면 윤 당선인은 졌을 것"이라며 "저는 인수위의 공동운영자"라고 강조했다. 같은 날 윤 당선인과 대선 후 첫 오찬을 함께 한 뒤 기자들과 만나서는 "단일화 합의를 했을 당시에 선거에서 승리하면 빠른 시간 내에 자리를 가지고 국정 현안 전반에 대해 논의를 하자, 방향을 함께 의논하자는 이야기를 했었다"며 스스로 비중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안 대표가 단일화 덕에 승리했다고 주장하지만, 윤 당선인과 이재명 민주당 후보 간 표 차이가 24만7000여표(0.73%포인트)밖에 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단일화가 오히려 민주당 표심 결집을 가져오는 등 역풍으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대표적인 게 호남의 사전투표율이다. 3일 단일화 이후 4일과 5일 치러진 사전투표에서 호남 유권자 2명 1명꼴로 투표를 마치며 결집을 보여줬다. 전남 51.5%·전북 48.6%·광주 48.3%로 전국 시도별 사전투표율 1·2·3위를 휩쓸었다. 이후 최종투표율에서도 광주(81.5%)·전남(81.1%)·전북(80.6%)은 전국 1·2·3위를 차지했다.
 
선거 막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호남 목표 득표율을 30%라고 재상향했지만, 이 후보가 호남에서 83~86%의 몰표를 얻을 동안 윤 당선인은 11~14%의 저조한 지지율에 그쳤다.
 
윤석열(왼쪽)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국민의힘 제 20대 대통령선거 개표상황실'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함께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그간 대선 완주를 강조하고 호남에 내려가 과거 바른정당과 합당에 대해 사과까지 했던 안 후보의 갑작스러운 단일화는 중도층 표심에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안 대표 지지층이 양당에 신물이 난 중도층과 양강 후보의 강한 비호감에 대한 대안으로 2030 중심으로 안 대표를 지지했지만, 거듭된 말바꾸기 끝의 단일화에 강한 배신감을 느꼈다는 지적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뉴스토마토>와의 통화에서 "중도 표심이 이 후보를 향하면서 단일화 효과가 크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정미경 국민의힘 최고위원도 최근 YTN라디오와 인터뷰에서 "(안 대표와의)단일화 효과가 100% 다 나올 줄 알았는데, 단일화 과정이 너무 늦게 되는 바람에 국민들께서 많은 짜증을 내셨다. 그런 점에 있어서 단일화 효과가 다 나오지 못했다"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윤 당선인과 안 대표의 통합정부를 1997년 대선 당시 DJP연합과 비교하기도 한다. 당시 DJP연합은 △초대 국무총리 김종필 자유민주연합 총재 △1999년 12월 말 이전 내각제 개헌 △경제부처 임명권 국무총리 귀속 등에 합의했다. 다만, DJP 연합이 끝까지 가지 못한 것은 대통령 권력집중제에서는 필연적이란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분석이다. 때문에 안 대표가 계속해서 공동정부 합의에 기대 권력 분점을 노릴 경우 마찰은 불가피해질 수 있다.
 
다른 시각도 있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안 대표는 본인을 중도로, 윤 당선인을 보수로 보고 국민의힘에 흡수·합류한 것으로 다당제를 전제로 한 정치연대, 대연정, DJP연합 등 교과서적인 공동정부 개념과는 다소 다르다. 공동정부라는 수식어로 포장한 것으로 일종의 레토릭"이라며 "윤 당선인 입장에서는 당장 안 대표의 몫을 챙겨주면서 이준석 대표 등 당을 견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etomato.com
 
  • 김광연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