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임유진

http://www.facebook.com/profil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영상)하반기 저축은행이 살 길

전문가들 "중금리 대출 강화·포트폴리오 다변화" 주문

2021-08-03 17:00

조회수 : 3,720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임유진 기자] 금융당국이 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에 제동을 걸면서 저축은행들이 활로 모색에 분주하다. 저축은행은 최근 당국의 시중은행 대출규제 정책에 따른 풍선효과를 누리면서 실적 성장을 견인했지만 앞으로는 경영 계획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저축은행의 하반기 경영 전략과 관련해 '중금리 대출 경쟁력 강화'와 '단순 이자이익 외 포트폴리오 다변화' 등을 제언했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3일 <뉴스토마토>와 통화에서 "저축은행이 전체 중금리 대출액의 대다수를 공급하는 만큼, 하반기에도 저축은행의 기반인 중금리 대출 시장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저축은행은 중금리 대출이라는 누적된 노하우와 영업력이 있기 때문에 그 분야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서 "기존 중금리 대출 상품의 금리를 더 내린다든지, 상환 기간을 연장하는 식으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저축은행들이 중금리 대출 시장에서 확보한 고객을 대상으로 연계상품을 개발해 고객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금융당국도 저축은행이 중금리 대출 경영을 펼칠 수 있도록 보장해줘야 한다"면서 "당국의 2금융권 규제라는 명목으로 중금리 대출 시장 자체가 쪼그라들면 결국 피해는 서민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저축은행 업계가 기존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해야 할 때라는 의견도 나왔다. 이필상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는 "예대 금리 차익만 갖고 저축은행이 경영 이익을 보는 것은 분명히 한계가 있다"면서 "정정당당하게 투자에 집중하거나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시중은행들과 경쟁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상대적으로 규제를 받지 않는 기업대출을 늘리는 방식으로 영업 전략을 수정하거나, 수익이 보장되는 대체 투자처를 발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그는 "저축은행 대출의 경우 차입자들의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면서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로 접어들면 취약 계층의 빚 상환 부담이 늘고 대출이 부실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저축은행이 송금서비스나 투자 서비스 등 서비스 업무를 개발해서 수수료 수익률을 거두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게 중요하다"고 사업 다각화를 주문했다. 
 
상반기 대출 수요 증가로 저축은행들은 대체로 호실적을 기록했다. SBI저축은행의 2분기 순이익은 1071억원으로, 업계 최초로 분기 순이익이 1000억원을 넘었다. 하나저축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은 91.3%으로 껑충 뛰어 132억원에 육박했다. 우리금융저축은행의 당기순익도 55% 증가해 93억원을 기록했다. 가계 대출이 증가하고 2금융권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풍선효과를 톡톡히 본 셈이다.
 
다만 저축은행 대출 증가세는 달가운 신호는 아니다. 당국이 가계대출 급등세를 억제키 위해 시중은행을 옥죄자 금융 소비자들이 저축은행으로 발길을 돌린 것이다. 당국이 저축은행의 규제차익을 경고하고 나서면서 지금보다 강화된 규제가 적용될 공산도 커졌다. 금융감독원은 오는 5일까지 저축은행들에 가계부채 관련 통계를 내도록 지시했는데, 신규 지급 대출액과 건수, 고소득자 신용대출 비중, 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비중 등 이례적으로 구체적인 내용을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금감원은 분기 혹은 한 달 단위로 확인했던 2금융권 가계대출 점검 주기도 주 단위로 축소키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당국이 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 관리를 꾸준히 예고한 만큼 업계도 총량규제에 맞춰 상황 관리에 나설 수밖에 없다"면서 "중금리 대출 시장을 기반으로 기업대출을 확대할 계획이지만, 상반기보다는 실적이 저조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서울에서 영업 중인 한 저축은행 간판. 사진/뉴시스
 
 
임유진 기자 limyang83@etomato.com
  • 임유진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