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동현

국산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 성공…약 102분 뒤 지상국 교신

디지털트윈 등 융복합 산업 창출 기대…"'K-위성' 시대 신호탄"

2021-03-22 17:18

조회수 : 2,455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김동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는 국내 기술 위주로 개발한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22일 15시7분경(현지시간 22일 11시 7분경)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밝혔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발사 후 약 64분에 고도 약 484㎞ 근지점(원지점 508㎞)에서 소유즈 2.1a 발사체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됐다. 이어 약 38분 후(발사 후 약 102분 뒤)에는 노르웨이 스발바르(Svalbard)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상국과의 교신을 통해 차세대중형위성 1호의 본체 시스템 등의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했다. 또한 발사체를 통해 도달하는 최초의 타원궤도(근지점 484㎞, 원지점 508km를 형성)에도 성공적으로 안착한 것을 확인했다.
 
지난 2015년 개발에 착수해 약 6년만에 발사에 성공한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과기정통부와 국토부의 지원을 받아 항우연 주관으로 국내 독자 개발한 정밀지상관측용 저궤도 실용급 위성이다. 고도 497.8㎞의 궤도에서 6개월의 초기운영과정을 거쳐 10월 이후부터 본격적인 표준영상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 장면. 사진/과기정통부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사업은 1단계와 2단계로 추진된다. 1단계는 정밀지상관측용(흑백 0.5m급, 칼라 2.0m급) 중형위성 2기(1호, 2호)를 국내 독자 개발해 500㎏급 표준형 위성 표준본체(플랫폼)를 확보하고, 2단계는 1단계 사업으로 확보된 500㎏급 표준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중형위성 3기를 국산화해 개발하는 사업이다.
 
이번 1호기 개발과정에서 항우연과 국내 산업체간 공동설계팀을 운영해 성공적으로 기술이전을 했고, 2호기부터는 설계부터 제작까지 산업체가 총괄해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차세대중형위성개발사업 2단계(2018년 착수)에서는 다양한 탑재체를 장착할 수 있는 표준형 위성 플랫폼을 활용해 3기 위성을 산업체 주도로 개발하고 있다.
 
특히,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기존 다목적실용위성 3A호(2015년 3월 발사)와 유사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무게는 절반으로 경량화(다목적실용위성3A호 1100㎏→차세대중형위성1호 540kg)했다. 대부분의 핵심 구성품을 국내 산업체 및 연구기관을 통해 개발했다.
 
향후 주 활용부처인 국토부는 항우연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밀지상관측영상을 국토지리정보원 내에 설치된 국토위성센터에서 고품질(위치정확도 1~2m급) 정밀정사영상으로 가공한 후 수요기관에 제공할 계획이다. 국토·자원 관리, 재해·재난 대응 등 공공·민간의 서비스 분야에 활용되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통해 얻는 정밀지상관측영상은 한국판 뉴딜의 핵심과제인 '디지털트윈' 국토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스마트시티·자율주행·드론 등 신산업 지원과 재난 안전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융·복합 산업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발사성공 직후 발사장 현지 연구진과의 축하 통화에서 "이번 발사는 광학탑재체 등 위성의 핵심 구성품을 국산화했고, 항우연이 쌓아온 위성개발 기술과 경험을 민간으로 이전하며 위성 산업을 활성화하는 기반을 마련해 이른바 'K-위성 시대'를 알리는 신호탄을 쏘아 올린 것"이라며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기에 과학기술이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국민에게 희망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esc@etomato.com
 
  • 김동현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