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K-바이오, 글로벌 빅팜과 전략적 제휴 해외시장 영역 확장을 위한 고삐를 움켜 쥔 국내 제약업계가 글로벌 제약공룡들과 다양한 방면의 협업을 모색하고 있다. 세계무대에서 미미한 내수 시장 한계에 따른 인지도 극복과 노하우가 축적된 대형 다국적 기업의 네트워킹을 활용해 속도와 효율을 동시에 잡겠다는 전략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에 진출한 다국적 제약사들과 국내사들이 협력 사례가 나날이 늘고 있다. ... 제약업계, 악재 뚫은 원외처방 실적 국내 제약업계가 잇따른 악재와 침체된 분위기에도 불구, 올 들어 최대 월간 원외처방액 실적으로 하반기를 시작했다. 든든한 캐시카우를 구축한 전통 제약사들을 중심으로 한 상위사들이 주요 품목 호조에 힘입어 눈에 띄는 성장률을 기록하며 처방액 증가를 견인했다. 22일 NH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제약업계는 지난달 1조1745억원의 원외처방조제액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 아쉬운 선두 유한·실속챙긴 대웅 국내 주요 제약사들이 상반기 공통된 외형 성장 속 수익성에서 희비가 교차했다. 사상 처음으로 상위 5개사 모두 연 매출 1조원 달성에 청신호가 켜졌지만 영업이익이 급감한 유한양행이 빛바랜 선두를 지켰고, 한미약품은 가장 큰 매출 성장폭과 나쁘지 않은 영업이익액으로 선방했다. 대웅제약은 수익성 좋은 보툴리눔 톡신 매출 반영에 외형 성장은 물론, 영업이익이 대폭 상승하... 제약업계 잘 키운 자회사, 항암제 기대주로 '열일' 국내 제약사들이 항암제 개발 특화를 목적으로 세운 자회사들의 존재감이 두드러지고 있다. 해외 주요 암학회 일정 도래와 성과 도출이 맞물리며 기대감도 나날이 커지는 분위기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과 GC녹십자, 보령제약 등 주요 제약사들의 항암제 성과가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유한양행이 지난 2016년 미국 소렌토와 합작한 조인트벤처 이뮨온시아는 지난 11일 개... (글로벌 제약업계 M&A 대전)④제약사는 공격적, 정부는 과감한 지원 절실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글로벌 제약사들의 공격적 M&A 배경엔 각 사별 결단력만큼 과감한 각 국 정부의 지원사격이 존재했다. 국내 정부가 제약 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그에 걸맞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국내 제약 산업의 가장 큰 경쟁국으로 꼽히는 일본의 경우 70조원 규모 빅딜을 통해 샤이어를 품에 안은 다케다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