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조선3사, 못 받은 돈 13조원…작년 매출의 32% 지난해 조선 3사의 미청구공사액이 1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사 전체 매출의 32%에 해당하는 막대한 금액으로, 자금흐름 악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업황 침체로 선주들의 입김이 커지면서 헤비테일로 계약방식이 변경된 데다, 미청구공사액 또한 급격히 불어나면서 조선사들의 자금 순환 사정을 더욱 어렵게 했다. 미청구공사액은 회계 장부에는 자산으로 잡혔지만, ... 건설업계 잇따른 회계감리…연초 체감온도 꽁꽁 최근 금융당국의 잇따른 회계감리로 건설업계 분위기가 꽁꽁 얼어붙었다. 대우조선해양 사태를 계기로 조선, 건설 등 수주산업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 상황에서 대우건설에 이어 현대건설까지 회계감리 대상에 오르면서 긴장감이 높아진 것이다. 그동안 매출 상승을 견인했던 주택시장 침체 전망과 대출 금리인상, 부동산 규제 강화에 이어 건설업계가 극복해야 할 난관이 하나 더 ... GS건설, 미청구공사 관련 큰 우려는 없어-한국증권 한국투자증권은 9일 GS건설(006360)에 대해 2분기 미청구공사가 1분기 대비 330억원 증가했으며 큰 변화는 없었음을 반영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8000원을 유지했다. 이경자, 강승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GS건설의 2분기 미청구공사는 이집트 ERC에서 1270억원 감소했으나 기자재 투입시기로 미청구공사가 증가하는 시점이기 때문에 쿠웨이트 CFP와 UAE 'R... 건설사, 해외 프로젝트 제값 받기 몸부림 대형 건설사들이 해외 프로젝트 수익성 개선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발주처의 재정상황 악화로 공사기간이 연장되면서 저가로 수주했던 프로젝트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올 1분기부터 새로운 회계기준 적용으로 주요 사업장의 미청구공사액과 공사 진행률 등이 공개되면서 저가수주 사업장에 대한 부담도 더욱 커졌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 "까긴 깠는데"…허점투성이 '회계 투명성 방안' 건설업체들이 분기보고서를 통해 개별 사업장의 공정률과 미청구공사 규모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고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미청구공사에 대한 민낯이 드러나면서 예상치 못한 '어닝쇼크'를 기록하는 현상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되는 한편, 제도적 맹점과 미처 정립되지 않은 기준이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미청구공사는 공사 진행 기준에 따라 앞으로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