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자영업 회복세 '양극화'…여행업, 코로나 이전의 '10% 수준' 코로나발 여파로 악화된 대면서비스 업종의 매출이 차츰 증가하는 경향이나 업종별 격차는 더욱 벌어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손실보상에서 제외된 여행 관련 자영업자의 매출은 코로나 직전인 2019년과 비교해 1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코로나19의 지속과 자영업의 업종별 경영상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4월부터 대면서비... 고용유지지원금 30일 연장에 여행·항공업계 '숨통' 정부가 코로나19 충격으로 장기간 휴업·휴직에 들어간 항공업·여행업 등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금을 30일 연장하기로 했다. 지원금 대상 사업장의 30%가량의 지원이 10월 말 이전에 종료될 예정인 만큼 관련 업계는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정부는 10월 말 전 국민의 70%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할 것으로 내다보고 '위드코로나' 전략을 준비하고 있는 만큼 연장 이후의 상... 재난지원금 11조 뿌렸는데…여행업계 ‘그림의 떡’ 정부가 지난 6일부터 총 11조원 규모의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여행업계에선 아쉬움의 목소리가 이어진다. 아직 국내 단체 여행 수요 회복이 미진한 상황에서 재난지원금 효과가 얼마나 있을지 미지수란 것이다. 재난지원금 사용처도 온라인몰의 경우 제한이 있어 여행·숙박 상품 대부분이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업계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 환경·저소득 교육 보호 및 교통 투자로 '도시 미래' 구축 총 4029억원의 도시 미래 항목에서 주목되는 점은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 구현' 부문이다. 도로 등 SOC 사업의 경우 본예산을 증액한 경우가 상당한 편이지만, 환경 부문에 있어서는 신규 예산이 부각된다. 특히 미래의 '쓰레기 대란'에 대응하는 예산이 눈길을 끈다. 서울시는 광역자원회수시설 타당성 조사 및 기본 계획에 12억원, 시설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에 4억원의 추가... “업체만 늘어난다고 뭐가 달라지나요?” 정부가 여행업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여행업 등록 기준 완화 방침을 발표했지만 여행업계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하다. 코로나19로 업계 전반이 고사 직전으로 몰린 상황에서 새로운 사업자의 여행업 진출 기회를 넓히는 것이 시기적으로 적절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많다. 2일 정부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일반여행업의 등록자본금을 1억원에서 5000만원으로, 국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