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토마토칼럼)자원외교가 신산업 주도의 열쇠다 반도체나 배터리, 우주산업 등에 핵심적으로 쓰이는 소재 상당수가 중국에서 채굴된다. 대체 공급원을 확보하려면 희귀광물 매장 국가를 찾아야 하는데 이들 국가 상당수가 아프리카나 중동 등에 위치한 후진국이다. 후진국은 대체로 정치·경제·사회 시스템이 불안하다. 때로는 군부 쿠데타가 일어나기도 하며, 내전이 발생하기도 하며, 기아와 빈곤을 참지 못한 국민들이 대규모 시... 1분기 제조업 전망 '흐림'…이차전지·반도체 등 경기 개선 기대감↑ 국내 제조업체들이 올해 우리나라 제조업 경기가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차전지와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전년보다 매출이 회복되는 등 전체 제조업 매출이 견실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올 1분기 제조업 경기와 관련해서는 다소 고전할 것으로 봤다. 16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제조업 매출 전망 BSI는 100(기준점)을 상회하는 ... 작년 외국인 증권투자 46조원…12년 만에 최대 지난해 외국인들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이 387억1000만 달러로 12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채권 시장에서 공공 자금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늘어난 결과다. 특히 지난달에는 외국인들이 업황 개선 기대감에 반도체 기업을 중심으로 37억 달러 가까운 주식을 순매수했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12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2021년 1∼12월 외국인의 국내... 지난해 ICT 수출, 270조 돌파 '역대 최대'…반도체·패널·스마트폰 '쑥쑥' 지난해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이 역대 최대인 27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2년 연속 1000억 달러를 넘어섰고 디스플레이 패널·스마트폰 등 대부분의 핵심 품목들도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2일 발표한 '2021년도 ICT 연간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ICT 수출은 2276억2000만 달러(한화 약 271조원)로 전년보다 2... 전경련 "주요 부품소재 중국 의존도 심화" 한국과 미국, 일본 가운데 우리나라의 주요 부품소재 수입 의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8년 미·중 무역분쟁 발생 이후 의존도가 심화했다.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20년 기준 부품·소재 중국 의존도가 한국 29.3%, 일본 28.9%, 미국 12.9%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전체 품목 의존도는 일본 26%, 한국 23.3%, 미국 18.6%다. 중간재는 2019년 기준으로 한국 27.3%,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