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LGU+ "'디즈니=LGU+' 고객 인식 확보…오픈플랫폼 제휴 전략" LG유플러스(032640)가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디즈니플러스'와의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IPTV) 독점 제휴를 통해 '디즈니LG유플러스'라는 인식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미디어·콘텐츠 분야에서 오픈플랫폼 전략을 유지하며 경쟁력 있는 사업자와의 제휴를 지속할 계획이다. 최창국 LG유플러스 홈·미디어사업그룹장은 5일 열린 LG유플러스 2021년 3분기 경영실... LGU+, 3분기 영업익 2767억…"2010년 이후 분기 최대 영업익" LG유플러스(032640)가 올 3분기 유무선 사업과 신사업의 고른 성장으로 2010년 이후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회사는 이날 올 3분기 실적으로 영업수익(매출) 3조4774억원, 영업이익 276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4.1%와 10.2% 늘었다. 분기 영업이익 기준 2010년 이후 최대 실적이다. 올해 3분기까지 누... 통신 로밍 전국망 적용은 비효율적…시스템 현장 작동이 우선 지난달 25일 발생한 KT의 통신 장애와 같이 네트워크 중앙부(코어망)에서 장애가 발생했을 때, 타사 망과 연결하는 '통신 로밍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로밍을 위해 통신 사업자가 전국 네트워크망을 2, 3개씩 갖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정부와 통신업계, 전문가들은 궁극적으로 전국망이 마비되지 않도록 갖춰진 시스템이 실제 작... [IB토마토]LG유플러스, 높은 실적 기대감 속 진한 아쉬움 국내 통신사들이 5세대 이동통신(5G) 순증가입자 증가 등으로 실적 개선을 이루며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이 가운데 LG유플러스(032640)(LGU+)는 안정적인 이동통신(MNO) 운영과 더불어 주력하고 있는 IPTV 사업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고 있다. 다만 경쟁사인 SK텔레콤(017670)과 KT(030200)에 비해 신사업 면에서는 이렇다 할 강점이 없고 혁신... [IB토마토]LG디스플레이, 첫 ESG위원회 열어···ESG 등급 회복 노력 LG디스플레이(034220)가 첫 ESG위원회를 열고 9대 핵심과제를 선정하는 등 떨어진 ESG 등급 회복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업계에서는 LG가 그룹 차원에서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는 만큼 LG디스플레이도 그에 맞춰 ESG 개선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27일 공시를 통해, 전날 제1차 ESG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삼성SDS "ESG플랫폼 연말 개발…GDC 인력 1천명 추가 확보" 정보기술(IT)서비스 대외 사업을 확장 중인 삼성SDS(삼성에스디에스(018260))가 올해 안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플랫폼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IT서비스 수익성 강화를 위한 인력 확보 작업도 지속해서 진행한다. 강석립 삼성SDS IT혁신사업부장(부사장)은 27일 열린 삼성SDS 2021년 3분기 경영실적 설명회에서 "삼성 관계사는 업무 중 환경·안전을 위한 환경·보건... 삼성SDS, 3분기 영업익 2220억…IT서비스·물류 고른 성장 삼성SDS(삼성에스디에스(018260))는 올 3분기 매출 3조3813억원, 영업이익 2220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3.9%와 1.0% 증가했다. IT서비스 매출은 클라우드 서비스, 전사자원관리(ERP) 대외사업, 스마트팩토리 구축 등 사업 확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1조3792억원이었다. 물류 사업 매출은 IT제품 물동량 증가, ... 경영계 반발 속 '중대재해처벌법' 국무회의 통과…내년 1월27일 시행 내년 1월 27일부터 시행하는 중대재해처벌법상 상시근로자 수가 500명 이상이거나 시공능력 상위 200위 내 건설사업자는 안전·보건 업무를 총괄·관리하는 전담조직을 설치해야 한다. 또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게는 권한과 예산을 부여하고, 별도 기준을 마련해 반기 1회 이상 평가·관리받아야 한다. 국무조정실은 28일 열린 제42회 국무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의 '중대재해 처... 경영계 "중대재해법, 유예기간·보완 입법 필요" 경영계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의 국무회의 통과에 대해 강한 유감을 드러냈다. 기업의 준비 기간을 고려해 유예기간을 부여하고 과잉처벌 등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보완 입법이 필요하다고도 목소리를 높였다. 28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그동안 중대재해처벌법상 불분명한 경영책임자 개념 및 의무내용 등이 시행령에 구체적으로 규정돼야 한다고 수차례 건의했지만 충분히 ... 경총 "중대재해법, 국무회의서 보완해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정을 두고 경영계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정안은 지난 24일 차관회의를 통과했으며 오는 28일 국무회의 상정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7일 입장문을 통해 "경영책임자의 안전 및 보건확보 의무는 위반 시 1년 이상 징역형이라는 매우 엄한 형벌과 직결되는 만큼 어떠한 법령보다 명확히 규정돼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