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세계 사망 원인 1위 심혈관질환…동맥경화 주의보 매년 9월29일은 세계심장연맹(WHF)이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고 인식 개선을 위해 제정한 '세계 심장의 날'이다. 특히 동맥경화로 인한 심혈관질환은 많은 사람의 시간과 비용을 잡아먹으며 행복한 삶을 제한하고 있어 발병 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심혈관질환은 2019년 약 890만명이 사망한 사망원인 1위 질환이다. 우리나라에선 암... 골다공증 환자 칼슘보충제 단독복용시 심혈관질환 위험↑ 골다공증 환자가 칼슘보충제를 단독 복용할 경우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김신곤 내분비내과 교수팀과 이준영 고대 의과대학 의학통계학교실 교수팀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국내외의 여러 골대사 가이드라인은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골절의 위험이 높은 고령층의 칼슘과 비타민D 보충제의 ... 간편한 AI 망막검사로 심혈관질환 위험도 알 수 있다 국내외 합동 연구진이 최근 망막의 미세한 혈관 변화를 관찰해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를 예측하고,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AI 알고리즘은 국내 및 싱가포르, 영국에서 수집된 다인종 코호트 데이터로 검증됐으며, 연구 결과 망막사진으로 산출된 AI 위험지수가 심장 CT 검사로 얻어지는 관상동맥 석회화지수와 동등한 성능으로 미... 코로나 속 늘어난 혼술족 '지방간 주의보' 코로나19 확산으로 바깥 활동을 하기가 어려워지자 집에서 혼자 술을 마시는 '혼술족'이 늘고 있다. 혼자 술을 마시면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지 않고 자신이 먹고 싶은 만큼 술을 마실 수 있고, 먹고 싶은 안주도 마음껏 즐길 수 있어 장점도 분명하다. 이런 이유로 코로나19 시대에 혼술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개한 '2020년 주류 소비 실태... 대사질환 동반한 건강 경고등 '지방간' 정상 간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5%를 넘으면 지방간이라고 한다. 지방간은 술로 인한 알콜성 지방간과 술과 상관없이 당뇨병·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질환에 관련돼 발생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나뉜다.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과 과도한 영양섭취로 인해 비알콜성 지방간이 급격히 늘었는데, 방치하면 간경변, 간암으로까지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