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수자원공사, 물 전문자료 디지털화…데이터 개방 확대 추진 한국수자원공사가 비전자 형태로 관리돼오던 물 관련 자료를 디지털로 전환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러한 내용의 '물 전문자료 및 중요 기록물 디지털화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관리 중인 약 7300여 건의 비전자 형태의 자료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여기에는 공사가 자체 생산한 물 전문자료 및 중요 기록물을 포함하고 있다. 한국... 수자원공사, 물분야 R&D 연구비 2억 지원 한국수자원공사는 오는 7월 9일까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물관리 혁신과 물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학과 정부출연기관, 연구기관 등을 대상으로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R&D)’ 과제를 공모한다고 14일 밝혔다. 공모는 물분야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지정과제’,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등 창의적 아이디어를 위한 ‘자유과제’, 유역별 현안 해결 및 공동체 참여를 위한 ‘정... 수공, 댐 수문방류 24시간 전 주민예고 앞으로 다목적댐 수문방류가 예상될 경우 방류계획을 24시간 전에 지자체 및 지역주민 등에게 알려주는 수문방류 예고제가 시행된다. 댐 하류지역에서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13일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지난 10일 대전시 본사에서 개최한 ‘홍수기 대비 전사 합동 점검 회의’에서 다목적댐 수문방류가 예상될 경우 24시간 전에 지자체 및 지역주민들에게 ... 20호 자상한 기업에 한국수자원공사 중소벤처기업부는 4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20 동반성장주간 기념식'을 열고 한국수자원공사와 20호 자상한 기업 업무 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은 ‘그린 선도국가 대한민국’ 실현을 위한 그린 유니콘 육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한국수자원공사의 의지에 따라 성사됐다는 게 중기부 설명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협약으로 그린 유니콘 육성을 위한 투자, 창업, 기... 물난리 사태 댐 관리 문제…현장 중심 통합관리로 전환 물난리를 겪은 댐 방류 사태 후 현장 중심의 댐 수량·수질 통합관리체계가 구축됐다. 특히 국토교통부 등 하천관리청과 협의하도록 한 댐 저수구역 하천점용허가 기준이 지방환경관서 협업으로 전환됐다. 3일 환경부에 따르면 이날 정부는 국무회의를 통해 현장중심의 댐 관리체제 구축을 담은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댐건설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