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심위 "딥페이크 성범죄영상 시정요구 3.2배 증가"
"상시·중점 모니터링 강화 등 적극 대응 성과"
2025-02-12 17:46:27 2025-02-12 17:46:27
[뉴스토마토 이진하 기자]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딥페이크 성범죄 영상물'에 대한 시정요구가 지난해 2만3107건으로 집계됐다고 12일 밝혔습니다. 전년 대비 약 3.2배 급증한 수치입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딥페이크 성범죄 영상물'에 대한 시정요구가 지난해 2만3107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사진=방송통신심의위원회)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473건, 2021년 1913건, 2022년 3574건, 2023년 7187건, 2024년 2만3107건으로 집계됐습니다. 
 
방심위는 텔레그램과 핫라인을 구축하는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한 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의 유통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 적극 대응한 결과하고 설명했습니다. 
 
또 전체 디지털성범죄 정보에 대한 지난해 시정요구 건수 역시 9만4185건으로 전년(6만6929건)대비 약 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방심위는 "다수 피해자 불법촬영물 유포, 아동·청소년 성착취 사건 등 다양한 디지털성범죄 현안에 대해 연중 상시·중점 모니터링을 강화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 유포와 불법촬영을 통한 아동 청소년 성착취 사례 등이 계속 발생할 우려가 있다"면서 "향후에도 모니터링 강화, 사업자 협력 등 자율규제 유도, 악성 정보에 대한 수사 의뢰 및 지속적 협의 시행, 해외 사업자 및 유관기관 협력 등 다각적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진하 기자 jh3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