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에 계엄군 300명…김용현 "부정선거 수사 목적"
2024-12-06 07:35:58 2024-12-06 07:35:58
[뉴스토마토 김진양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던 지난 3일 밤 중앙선거관리위언회 청사 등에 계엄군 300여명이 출동했던 것을 두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부정선거 의혹 관련 수사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라고 밝혔습니다. 
 
중앙선관위 과천청사. (사진=연합뉴스)
 
지난 4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은 "3일 밤 10시24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10시30분 계엄군 10여명이 중앙선관위 청사 내에 투입됐다"며 "4일 0시30분 계엄군 100여명이 추가로 청사에 투입됐다"고 말했습니다. 
 
계엄군은 야간 당직자 등 5명의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행동 감시와 출입 통제를 했다고 합니다. 이날 선관위 청사에는 경찰 병력 100여명도 투입됐습니다. 조지호 경찰청장은 "군방첩사령관 전화를 받고 선관위에 경찰 인력을 투입했다"고 밝혔습니다. 
 
계엄군은 수원 선거연수원과 서울 관악청사에도 각각 130여명, 50명가량 출동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두 곳에선 청사에 진입하지 않았다는데요. 선관위에 투입된 계엄군은 총 300여명으로 국회 경내에 들어온 계엄군(280명)보다 많았습니다. 또한 계엄군이 선관위 청사에 처음 투입된 시간 역시 국회 출입문을 통제한 시각보다도 빨랐습니다. 
 
이에 김 사무총장은 "계엄군이 왜 선관위에 진입했는지 이유를 정확히 모르겠다"며 "선관위는 계엄법 대상이 안된다 생각한다. 계엄이 이뤄진다 해서 선관위 업무를 이관해야 할 필요가 없다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장관은 언론에 밝힌 입장문을 통해 "많은 국민이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함에 따라 향후 수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시스템과 시설 확보가 필요하다 판단했다"고 선관위 출동을 지시한 이유를 밝혔습니다. 
 
김 전 장관은 또 "이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가 있어 철수한 것"이라고도 덧붙였습니다. 보수 일각에서 제기되는 '선관위 부정선거론' 진위를 확인하기 위한 조치였다는 의미인데요. 실제로 계엄군은 중앙선관위 청사 정보관리국 사무실에도 진입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진양 기자 jinyangkim@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