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유진·이민우 기자] 10년 사이 가장의 역할을 도맡는 고령인구가 10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생계를 책임지는 20·30대 청년가장이 급감한 것과 대조적입니다. 은퇴 이후에도 쉬지 못하는 '일 하는 노인'이 늘어난 셈입니다.
26일 통계청의 '고령자 통계'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고용률은 36.2%로 10년간 6.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65세 이상 취업자 수는 326만5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국회 기획재정위원장 김상훈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13~2022년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현황'을 보면 60·70대의 증가율이 두드러집니다.
60대 이상 직장가입자는 2013년 50만3840명에서 2022년 105만718명으로 108.5% 늘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45만4247명, 70대는 9만2631명 늘었습니다. 10년 새 2배 이상 증가한 규모입니다.
26일 통계청의 '고령자 통계'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고용률은 36.2%로 10년간 6.1%포인트 상승했다. 그래픽은 노인가장 인구 변화. (그래픽=뉴스토마토)
전체 가입자 중 60·70대 비중은 2013년 6.1%에서 지난해 12.7%로 증가했습니다. 청년층의 자립이 늦어진 만큼 노년층이 돼서도 가장 역할을 놓을 수 없다는 게 김 의원실의 설명입니다.
반면 20·30대 직장가입자는 307만6022명에서 186만1606명으로 10년 새 121만4416명(39.5%) 줄었습니다.
가장 세대구성이 바뀌면서 부양가족 분포도 달라졌습니다. 2013년 20·30대 직장가입자 아래에 있던 피부양자는 736만3694명이었으나 지난해에는 353만8235명으로 52.0% 줄었습니다.
반대로 60·70대에 의존하는 피부양자는 75만447명에서 140만2508명으로 86.9% 늘었습니다. 이날 통계청 데이터를 보면 2021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65세 이상 평균 고용률은 15.0%입니다. 반면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고용률은 34.9%로 나타났습니다.
또 일하는 고령자는 대부분 생활비 마련을 위해 노동시장에 뛰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21년 65세 이상 일하는 고령자의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배우자 부담 93.0%, 정부·사회단체 3.8%, 자녀·친척지원 3.2% 순입니다.
직업훈련을 받기 위해 정부 지원을 받는 고령인구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홍성국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내일배움카드 연령대별 발급 현황'을 보면 지난해 내일배움카드 신규발급자 수는 111만8176명입니다. 이 중 60세 이상은 12만6448명으로 전년 대비 15.4% 늘었습니다.
일 하는 노인은 많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노인 빈곤율은 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입니다. 처분가능소득으로 계산한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은 2021년 기준 37.7%입니다. 2018년 OECD 평균 노인빈곤율이 13.1%인 것을 감안하면 세 배에 가까운 수치입니다.
홍석철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사회가 고령화 되고 있고 생산연령인구가 1년에 30만명 가까이 줄고 있다. 이를 채우기 위해 고령 노동에 대해 수요가 높아질 것"이라며 "계속고용이 될 수 있는 제도나 노동시장의 환경을 정부가 좀 더 적극적으로 만들어줘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그러면서 "노동인구의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성들의 경제활동을 독려하거나 고령노동자의 계속고용을 활성화 하는 것, 외국인력을 유입하는 세 가지 방식이 있다"며 "외국 인력을 유입하더라도 여성 경제활동 독려·고령노동자 계속고용 활성화가 바탕이 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26일 통계청의 '고령자 통계'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고용률은 36.2%로 10년간 6.1%포인트 상승했다. 사진은 서울 시니어페스타에서 치매 예방 게임을 체험하는 노인. (사진=뉴시스)
세종=김유진·이민우 기자 yu@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