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베이비 부머' 기술 노하우 살려야…"기술창업 지원 필요"
시니어 기술창업자 평균 연령 50.8세
베이비붐 세대…기업 경험 바탕으로 창업한 비중 높아
기술 창업의 저변 확충을 위해 시니어 창업 지원 필요
기업가 정신 함양, 창업 교육 등 체계적으로 실시
2022-04-18 15:57:09 2022-04-18 15:57:09
[뉴스토마토 김충범 기자] 인구 구조의 고령화,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 코로나19 예상되는 기업 구조조정 등에 대응하면서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시니어 계층의 핵심인 '베이비 부머(1955~1963년 출생)'의 기술 노하우를 살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부가 이들 계층의 축적된 기술·경험·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 청년 창업 촉진과 같은 적극적 지원 제도를 마련해 견고한 창업 생태계 조성에 나서야 한다는 분석이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2월 7일부터 3월 7일까지 222개의 시니어(40세 이상) 창업자를 실태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18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시니어 기술창업자가 창업하겠다고 생각했을 때의 연령은 평균 47.3세, 실제 창업 당시 연령은 평균 50.8세로 조사됐다.
 
시니어 기술창업자의 창업 이전 재직 직종은 제조업 43.2%, 비제조업 41.4%로 기업 경력자가 전체의 84.6%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공무원·연구소·대학 경력자나 직업이 없었다고 답한 비율은 15.3%에 불과했다.
 
이들의 창업 이전 근무부서는 기술·연구 부서 33.3%, 마케팅 부서 28.2%, 사무·관리 부서 15.7% 등 순으로 나타났다.
 
창업을 결정한 동기로는 '퇴직 이후 자기 사업 영위'가 40.1%로 가장 많았고, '직장 등에서 취득한 기술·지식을 사장하기 아쉬워서(29.7%)', '경제적 성공 기대(22.5%)'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이 창업 초기 조달하는 자금의 구성은 퇴직금 등 자기자금을 쓰는 경우가 46.1%로 가장 많았다. 또 정부지원 창업자금 29%, 금융기관 융자금 19.4% 등 활용 사례도 있었다. 다만 엔젤·벤처캐피탈(VC) 등 투자자금의 비중은 2%에 그쳤다.
 
창업 애로사항으로는 '창업자금 확보 어려움'이라는 응답이 42.3%로 가장 많았고, 이어 '판로확보·안정적 수익에 대한 불안감' 25.2%, '창업 실패 두려움' 15.3% 등의 순이었다.
 
특히 시니어 중에서도 인구 비율이 높은 베이비붐(1955~1963년 출생) 세대 창업자로 범위를 좁힐 경우 창업 평균 연령은 60세, 기업경력자 비율은 88.9%로 집계됐다. 베이비부머 세대에서 기업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한 비중이 평균적으로 더 높다는 의미다.
 
또 자금 조달에 있어 베이비부머는 '퇴직금 등 자기자금' 응답이 54.1%로 전체 시니어 평균보다 8%포인트 높았다.
 
베이비부머가 창업을 결정한 동기에 대해서는 '퇴직 이후 자기사업 영위(52.8%)', '직장 등에서 취득한 기술·지식을 사장시키기 아까워서(30.6%)'라는 답변 비중이 전체 시니어 평균보다 컸다.
 
시니어 기술창업지원제도에 대한 활용 문제점도 지적됐다. 이 제도에 대한 인지도, 활용도, 만족도를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인지도는 3.27점, 활용도 및 만족도는 각각 3.33점, 3.44점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정부 지원제도 부족으로 나타났고, 중장년기술창업센터에 대한 지원예산 부족 및 인프라 구축 미흡 등도 함께 꼽혔다.
 
산업연구원은 기술과 네트워크를 보유한 시니어의 기술 창업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니어 기술창업은 청년창업에 비해 축적의 기술·경험·네트워크 등을 기반으로 해 성공 확률이 높다는 분석이다.
 
연구원은 기술 창업의 저변 확충을 위해 50∼60대 시니어를 대상으로 창업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고용상 연령차별 금지 및 고령자 고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니어 창업지원 서비스의 이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후속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니어 기술창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기업가 정신 함양, 창업 교육 등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정년퇴직했거나 은퇴를 앞둔 시니어는 금융·신용 보증기관 활용 시 일반 재직 근로자에 비해 더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이에 일본과 같이 기업·연구기관 등에서 6년 이상 경력을 갖고 기술창업에 도전하면 중진공 정책자금 융자, 신용보증기관 보증 시 특례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중장년기술창업센터가 시니어 기술창업 지원기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도록 일본·독일처럼 중앙·지방정부의 예산 지원도 확대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양현봉 산업연구원 박사는 "청년실업 해소와 고령층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정부가 시니어 기술창업 활성화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2월 7일부터 3월 7일까지 222개의 시니어(40세 이상) 창업자를 실태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18일 발표했다. 사진은 한 노인일자리 채용한마당을 찾은 노인들이 채용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김충범 기자 acechung@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