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경주서 신라시대 여성 인골 발견…성벽 축조때 제물로 바쳐졌다
월성 서성벽서 추가 발견…키 135㎝ 안팎 왜소한 체격
2021-09-07 15:38:16 2021-09-07 15:38:16
[뉴스토마토 권새나 기자] 신라 왕성 월성의 서성벽에서 제물로 바쳐진 여성의 인골이 추가로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월성 서성벽에 대한 추가 발굴 결과, 사람을 제물로 사용한 인신공희의 성인 여성 인골 1구를 추가로 발굴했고, 신라 왕성인 월성의 축조 연대와 축성 방식을 최초로 밝혀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소는 2017년 인신공희 긴급 보고 후, 월성 서성벽 구간에 대한 정밀조사에 착수했다. 이에 국내에서 최초로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사람, 동물 등을 제물로 바친 정황을 확인했다.
 
월성 서성벽에서 거행된 인신공희는 국내 유일의 성벽 의례다. 현재까지 신라가 최초로 축조한 왕성 월성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연구소는 서성벽의 축조 공정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월성 토목 기술과 축조 시기를 살펴보기 위한 추가 조사도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인신공희는 월성 기초부 공사가 끝나고 거대한 성벽을게 쌓아 올리기 전 성벽과 문지가 견고하게 축조되길 바라는 바음에 거행됐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2017년 보고된 50대 남녀 인골에 더해 성인 여성 인골과 동물 뼈가 추가로 확인됐다. 
 
남녀 인골 위치에서 북동쪽으로 약 50㎝ 떨어진 여성 인골은 키 135㎝ 안팎의 왜소한 체구로 굽은옥 모양 유리구슬을 엮은 목걸이와 팔찌를 착용하고 있었다. 뼈의 상태로 보아 성장이 끝난 성인 여성으로 확인되나 연령대를 특정하긴 어렵다고 연구소 측은 설명했다.
 
인신공희 인골 3구는 모두 영양 상태가 좋지 못하고, 고급 유물이 없는 점으로 미뤄 신분이 낮은 계층으로 추정된다.
 
동물뼈는 말, 소 등 대형 포유류로 추정된다. 늑골 부위 위주로 선별하여 제물로 바쳐졌다.
 
인신공희 지점에서 북서쪽 방향으로 약 1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1985년과 1990년 시굴·발굴조사에서 출처가 불분명한 인골 20구 넘게 일괄적으로 확인된 바 있다. 이번에 밝혀진 월성의 축성 작업과 비교한 결과, 이들 인골 또한 성벽 축조 과정과 관련해 묻힌 것으로 밝혀졌다.
 
월성 서성벽 조사는 축성 시기, 토목 기술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중요성이 크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기록에는 월성이 파사왕 22년(101년)에 축조된 것으로 등장하지만 이런 축성 기록은 실제 축조 연대보다 많이 앞당겨진 시기로 여겨져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이번 서성벽 발굴조사를 통해 월성은 문헌 기록과 약 250년 차이 나는 4세기 중엽부터 쌓기 시작해 5세기 초에 이르러 완공된 것으로 확인됐다.
 
월성 서성벽의 축조 연대는 출토된 유물의 전수 조사와 40여 점에 가까운 가속질량분석기 연대 분석에 기반해 이뤄졌고, 양자 간의 정합성을 최대한 맞춰 자료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했다.
 
월성은 신라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토성으로 알려졌지만, 그 축조 수준은 토목공학적으로 다양한 축성 기술이 집약됐다.
 
먼저, 일정 간격으로 나무 말목을 박은 지정공법과 목재, 식물류를 층층이 깐 부엽공법 등 기초부 공사를 통해 월성 지형의 연약한 지반을 보강했다. 이후, 본격적으로 성벽 몸체를 만드는 체성부 공사에서는 볏짚·점토 덩어리·건물 벽체 등을 다양한 성벽 재료로 사용해 높고 거대하게 만드는 토목 기술을 확인했다.
 
월성 성벽은 너비 약 40m, 높이 10m 이상으로 추정돼, 신라인들의 뛰어난 토목 기술과 당시 왕성의 웅장함을 그려볼 수 있다.
 
연구소는 이날 오후 4시 유튜브를 통해 현장설명회를 열어 월성 서성벽 조사 성과를 공개한다. 8일에 개최하는 전문가 토론회도 연구소 유튜브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2021년 월성 서성벽에서 출토된 여성 인골의 착장 유물과 토기 공헌. 사진/문화재청 제공
 
권새나 기자 inn1374@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