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현장에서) 프라임사업, 대학 '죽이기'냐 '살리기'냐
2016-05-23 06:00:00 2016-05-23 06:00:00
윤다혜 사회부 기자
여러모로 대학가가 어지럽다. 특히 '프라임사업(PRIME·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이 큰 파장을 몰고 오고 있다. 프라임사업이 발표된 지 20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교육현장에서는 진통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학내 구성원과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채 대학 측에서 사업을 강행하면서 고려대 등 서울 주요 대학 총학생회와 대학생 단체들이 시위를 벌이고 있다. 프라임사업과는 조금 다른 얘기지만 법대통폐합을 추진하고 있는 숭실대도 학생들의 반발이 거세다. 학생들은 이를 막기 위해 단식투쟁에 돌입했다가 한 학생이 병원에 실려가기까지 했다.
 
게다가 올해 수능이 6개월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가 계열별 정원을 조정하는 바람에 학부모들과 수험생들은 혼선을 겪고 있다. 보통은 바뀐 대입전형에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3년 사전예고제를 시행하나 프라임사업은 이 관행을 처음으로 깬 것이다.
 
프라임사업은 산업 수요에 맞춰 각 대학이 기존의 인문·사회 계열과 예체능 계열의 정원을 줄이고 이공계 정원을 늘리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4년제 21개 대학이 선정됐고 정원 조정 결과 인문사회계열 2500명, 자연과학계열 1150명, 예체능계열 779명이 줄고 공학계열이 4429명 늘게 됐다. 교육부는 프라임사업을 통해 대학이 자율적으로 미래 사회 수요를 반영해 정원조정 등 학사구조를 개편하고 학생들의 전공 능력과 함께 진로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이러한 프라임사업은 단기는 물론 장기적으로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미래 사회 수요를 반영했다고 하지만 학생들의 진로와 미래에 대한 고민의 흔적은 전혀 없다. 공학계열이 인문, 예체능 계열보단 취업이 잘 된다고 해도 향후 5년 후에도 이런 추세가 계속될지 의문이다. 이렇게 확실시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대학구조개혁을 추진했다가는 그 피해는 오롯이 학생들에게 돌아갈 것이 뻔하다. 현재도 공학계열이 일자리가 많은 것도 아닌데 이런 부분을 고민하지 않은 상태에서 덮어놓고 양산했다가 질 낮은 일자리만 양산하고 오히려 취업난을 키울 수 있다.
 
대학 교육의 목표는 취업이 아니다. 학생은 대학을 통해 적성에 맞는 학문을 공부하고 사회에 기여해 본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지속된다면 미래 사회 수요에만 맞춰 대학이 단지 취업하는 곳으로 전락해버릴 수밖에 없다. 학생들도 자신의 학문을 잃은 채 그저 교육부가 정해주는 사회적 수요에 맞춰 움직이게 될 것이다. 교육부는 정원 조정과 대학 통제에 눈이 멀어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다. 정원 감축보다는 학생들의 미래와 대학 교육의 질을 따져야 프라임사업의 부작용은 면할 수 있을 것이다. 

 
윤다혜 기자 snazzyi@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