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올스톱된 원스톱서비스…이용객 없어 개점휴업
전산단말 1대 없이 금융전산업무 담당…"말로만 창조경제"
2015-06-02 16:00:00 2015-06-02 16:00:00
한 창조경제혁신센터 내 원스톱 서비스 창구가 찾는 발길 하나 없이 개점휴업 상태에 놓여있다.
(사진/뉴스토마토)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에 공통적으로 개설돼 금융·법률·특허 분야를 지원하는 원스톱서비스 창구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법무부 소속 공익법무관,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 소속 금융전문가, 지역 변리사협회에서 파견된 변리사 등 분야별 전문가 3명 이상이 각 센터마다 상주하고 있지만,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손에 꼽을 정도다.
 
특히 금융 분야 상담은 전산업무가 가능한 가까운 은행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편리해 서비스 존재의 이유마저 희석되고 있다. 한 지방 센터 관계자는 "금융 쪽이 가장 심각한데, 지점에 가면 금융전산 업무가 가능한 단말이 있어 곧바로 신용조회를 통해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여기는 하소연 들어주는 것밖에 사실상 기능이 없다"고 말했다.
 
취재팀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문을 연 전국 11곳 센터의 원스톱서비스 창구에는 금융업무용 전산단말이 단 1대도 없어 실질적인 융자, 대출 상담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앞선 관계자는 “은행 지점 대출 평가의 허들(문턱)이 10이라면 센터에서는 8 정도만 되도 융자가 가능하게끔 제도를 손질하자고 정부에 요청했지만, 불가능하다는 답변만 돌아왔다”며 “예산은 없고 제도는 고치지 못하면서, 말로만 창조경제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장사가 안 되기는 법률·특허 분야도 마찬가지다. 각 센터를 돌며 취재한 2주 동안 단 1곳에서도 상담업무가 원활하지 못했다. 지역 센터에 파견된 한 법무 담당관은 "법무 지원을 받으려는 스타트업들이 거의 없다. 파견된 인력들이 스타트업 정착에 필요한 전문성이 부족한 것도 이유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원스톱서비스 창구가 찾는 발길 하나 없이 방치되면서 맞춤형 서비스와 전문성 강화 등 능동적 대응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선일 대구센터장은 “창구만 연다고 되는 게 아니다”며 “대구센터는 3명의 전문가들을 입주한 기업들과 수시로 만나도록 독려해 자연스럽게 상담과 연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파견된 인력들이 초년생들이라 아직 경험이 많지 않고, 해결해 주기 어려운 과제들도 많다"며 현실적 한계를 인정했다.
 
다만 일부 센터에서 원스톱 창구에 배치된 전문인력들을 활용해 금융·법률·특허 등의 실무교육을 진행하는 식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 방향이라는 평가다. 광주센터에 입주한 권택일 MAXST 수석연구원은 "원스톱 창구의 전문가들이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교육에서 도움을 받고 있다. 형식적일지라도 우리 같은 비전문가들에게는 이런 교육이 유익하다"고 말했다. 대구센터에서도 전문성을 가진 법무법인, 회계법인과 연계해 상담의 전문성을 높여나가려 애쓰고 있다.
 
창업자들이 원스톱서비스를 통해 상담 받았던 내용들을 데이터로 축적하고, 비슷한 문제에 직면한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도 나왔다. 부산센터에 입주한 한승인 ROOY 개발이사는 "상담 내용들을 데이터베이스화 시켜서 벤처 스타트업들이 굳이 상담을 통하지 않더라도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창구를 만들면 유익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동훈·이충희 기자 donkey36@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