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자살보고서)늘어만가는 극단적 선택 왜?
(상)불행한 나라
자살률 OECD 1위 9년..출산율 꼴찌 10년
사회적 타살..고령화 충격 가속화
2014-04-15 15:55:01 2014-04-15 15:59:23
[뉴스토마토 김동훈기자] 우리나라의 불행지수가 높아만가고 있다. 경제규모는 세계 10위권으로 선진국 문턱에 빠르게 올라왔으나 스스로 생명을 포기하는 자살률은 세계 1위에서 회복될 기미가 없다. 현실에 절망하는 부부들이 늘어나며 출산율은 꼴찌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현실에서 행복을 느끼기 힘들고 미래에 대한 희망도 찾기 힘들다는 증거다. 뉴스토마토 은퇴전략연구소(NRSI)는 '자살 공화국'의 어두운 단면을 들여다보고 대책을 모색해본다. [편집자주]
 
#1. K 씨(30)는 수년 전 그날의 기억을 떠올리기 힘들다. 그날은 K 씨가 수면제를 먹고 자살을 시도한 날. 당시 그는 '어느 누군가'에게 '심각한 배신'을 당했다. 수면제를 입에 털어 넣었다. 외롭고 괴롭던 그 순간 곁에 있는 사람이 없다고 느꼈다. 다행히 이틀 만에 깨어났다. 하지만 그날의 기억에서 벗어나기 힘든 상태다.
 
#2. L 씨(61)는 병원 입원 한 달 사이 자살 시도를 두 번이나 했다. 다리를 쓸 수 있을 것이란 희망을 안고 큰 수술을 받았으나, 좋지 않은 결과가 나오자 낙담한 것이다. L 씨의 주변인들은 "가족이 병원에 찾아오지 않았다"고 전했다.
 
#3. H 씨(40)는 임신을 사실상 포기했다. 아이를 낳기 어려운 환경을 이유로 자의 반 타의 반 미루다 보니 임신과 출산에서 멀어졌다. H 씨는 "은행원으로 오랫동안 일했지만 많은 돈을 모은 것도 아니고, 언제까지 다닐 수 있을지도 알 수 없다"며 "정신을 차려보니 마흔이 넘었더라. 자식 없이 홀로 살아갈 노후가 걱정된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대교 난간에 '사랑한다'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사진=김동훈 기자)
 
우리 사회에서 생명이 시들고 있다.
 
극단적 표현이지만, 그 정도로 자살률이 심각하게 높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는 28.1명이다. 10년 전인 2002년 17.9명보다 57.2%나 증가했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 타이틀을 9년째 갖고 있다. OECD 평균은 12.5명 수준으로 한국의 절반 이하다.
 
◇스트레스 공화국
 
자살률이 높은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된다. 우울증과 같은 개인의 정신과적 증상에 따른 것이란 의견과 벼랑 끝 사회로 표현 가능한 사회 양극화 등 사회적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자살은 이른바 사회적 타살이라는 주장이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내놓은 '2013년 자살실태조사'를 보면 자살시도의 주된 원인으로 우울감 등 정신과적 증상이 37.9%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인관계 스트레스(31.2%), 경제적 문제(10.1%) 순으로 나타났다. 
 
송태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 사회정신건강연구센터장은 "우리나라는 스트레스 공화국"이라며 "학생은 공부나 폭행, 왕따, 부모의 이혼 스트레스, 베이비 부머는 경제적 문제, 노인은 질병, 고독감 등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사회 탓이라는 지적도 만만찮다.
 
이상영 보사연 보건정책연구본부장은 "자살률이 높다는 것은 우리 사회가 그만큼 살만한 환경이 아니라는 의미"라며 "자살은 우리 사회의 정신 세계와 정서, 경제적 여건 등 온갖 문제가 결집해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노법래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연구원은 "자살을 개인의 단순 우울증이나 충동적 행동에 의한 것으로 치부해선 안 된다"며 "한 개인의 자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경제·사회적 환경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란 절망감으로 자살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우리 사회가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산업화, 가족제도의 변화, 각종 사회적 충격, 성취 중심 문화의 확대와 같은 거시적 변수가 정체성의 위기로 이어져 개인이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개인을 둘러싼 각종 요인이 우울증을 유발하고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지는 것이지, 개인의 심리 상태만으로 자살 원인을 분석해선 안 된다는 얘기다.
 
(자료=통계청)
 
◇가족 해체 가속화
 
우리 사회의 생명력을 보여주는 합계출산율도 1980년 이후 30년 넘게 떨어지고 있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0년째 OECD 회원국 중 꼴찌.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1.19명으로 전년(1.30명)보다 0.11명 줄어 4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출산율의 장기적 하락세가 극단적 선택 앞 스크린 도어 역할을 하던 전통적 가족 체계의 해체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 주목한다. 
 
노법래 연구원은 "출산율 하락은 1인 가구와 독거 노인 증가 등 전통적 가족 해체 문제로 이어진다"며 "이는 자살률 증가나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노인 고독사와도 연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송 센터장은 "인터넷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출산율이 낮고 이혼율이 높을 때 자살을 검색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며 "자살 검색량이 많아지는 것은 자살률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불행이 불행 부르는 악순환
 
자살이 한국인의 사망 원인 가운데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에 이어 4위라는 점에서 보면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더이상 살고 싶지 않다는 사람이 늘어나는 것과 앞으로 살아갈 사람을 만들고 싶지 않다는 사람이 늘어나는 현상은 인구 감소와 무관하지 않다.
 
즉, 자살률 증가와 출산율 하락은 1차적으로 생산가능인구 감소를 야기하게 된다. 경제 활력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총인구 중 생산가능인구의 비율은 지난 2012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했다.
 
더군다나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에 가속 페달을 밟게 하고 있다. 노인을 부양하는 인구가 줄어들고 노인 인구는 급격히 늘어나는 문제는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등 사회 보장 제도의 지속 가능성도 흔들고 있다.
 
정부 지출이 복지에 과도하게 집중되면 다른 곳을 살필 여력이 줄어드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최균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경제적·심리적인 사회 지지망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며 "자살률이 높고 출산율이 낮은 것은 가족에 의한 지지 기반이 무너진 상태인데 개인이 살기 힘들 때 사회적 지지망이 받쳐주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