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기자
석유제품 수출액 332억 달러…10년 만에 최고치
원유수입액 621억 달러…절반 이상 제품수출로 회수
휘발유·윤활유 등 수출 증대…올해도 수요 회복세 지속
2022-01-27 10:00:00 2022-01-27 10:23:50
[뉴스토마토 조재훈 기자] 지난해 정유업계의 석유제품 수출액이 전년대비 55% 증가하며 10년 만에 최고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대한석유협회(KPA)에 따르면 지난 2021년 SK에너지, GS칼텍스, S-OIL(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의석유제품 수출액은 332억3534만 달러로 집계됐다. 수출액 증가율은 전년대비 54.6%로 10년 전인 2011년에 기록한 64.2% 이후 최고 증가율이다.
 
지난해 정유업계의 원유수입액이 621억3763만 달러인 점을 고려하면 절반 이상에 달하는 53.5%를 석유제품 수출로 다시 회수한 셈이다. 이같은 수출액 증가 영향으로 석유제품 수출액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하는 국가 주요 수출품목 중 5위를 기록해 2020년에 비해 한 계단 올라섰다.
 
에쓰오일 울산공장 전경. 사진/에쓰오일
 
수출액 증가 요인으로는 고유가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과 정유업계의 전략적 수출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수출액 증가는 지난해 정유업계 가동율 축소 영향으로 석유제품 수출물량이 전년 대비 4.4% 감소(4억1962만 배럴)한 가운데 이뤄진 것으로 수출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휘발유, 윤활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전략적으로 수출한 영향이 컸다.
 
지난해 경유, 항공유 등 주요 석유제품 수출량은 10~16% 감소했으나 휘발유는 글로벌 이동수요 회복에 따라 수요가 증가했다. 따라서 국내 정유사는 수출물량을 33% 늘렸고 윤활유 또한 고마진에 힘입어 수출량이 1.3% 증가했다. 휘발유 및 윤활유의 수출단가는 배럴당 각각 81달러, 130.4달러로 전체 제품 평균 79.2달러를 훌쩍 뛰어 넘었다.
 
석유제품 수출단가에서 원유도입단가를 뺀 수출 채산성도 배럴당 9.1달러를 기록하는 등 전년의 3.7달러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어나면서 수출체질과 경영실적 개선에도 크게 기여했다.
 
주요 에너지기관, 글로벌 석유수요도 코로나 이전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글로벌 석유제품 수요회복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돼 수출물량과 수출액도 동반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국제에너지기구(IEA),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등 주요 에너지기관은 올 1월 발행한 월간 보고서에서 2022년 석유수요를 글로벌 경제성장률 상승에 따라 지난해 대비 각각 4.3%, 3.4%, 3.7%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석유수요를 상회하는 수치다.
 
이에 비해 석유공급은 OPEC+산유국의 증산여력 불안, 유럽,중동 등의 지정학적인 불안정성 등에 따라 수요회복에 비해 공급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 유가 강보합세 및 정제마진 강세도 예상된다.
 
지난해 석유제품 수출 상대국 톱5 순위는 수출물량 기준으로 중국(21.5%), 일본(12.6%), 싱가폴(12.1%), 미국(10.3%), 호주(10.1%) 순으로 집계됐다.
 
중국이 2016년부터 6년 연속 최대 수출국을 유지했으나 작년 6월 중순 이후 시행된 중국 정부의 경순환유(LCO) 수입소비세 부과 영향 등에 따라 중국향 수출량은 전년 대비 28.4% 감소했으며 중국 의존도도 29%에서 22%로 낮아졌다.
 
반면 대 호주 수출량 증가율은 상위 5개국 중 가장 높은 49%를 기록했다. 호주에 위치한 BP, 엑슨모빌이 각각 지난 2020~2021년 Kwinana(14.5만b/d), Altona(8.6만b/d) 정유공장을 폐쇄하면서 전체 정제설비 중 50%가 감소해 석유제품 수입 의존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국내 정유사가 발빠르게 대처해 수출물량을 늘려 나간 것으로 풀이된다.
 
석유제품별로는 경유가 전체 석유제품 수출량 중 42%를 차지해 가장 높았고 뒤이어 휘발유(23%), 항공유(14%), 나프타(7%) 순으로 나타났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석유수요 회복이 가시화되면서 국내 정유사의 가동율도 점진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올해는 정유업계가 글로벌 석유수요 증대에 맞춰 수출지역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 제품수출로 국가수출에도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재훈 기자 cjh1251@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