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전보규

가계부채 집중관리에 뒷걸음질치는 은행주

정부, 대출 옥죄기 '의지'…"수익성·성장성 부정적"

2018-03-22 16:50

조회수 : 2,603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전보규 기자] 지난 2년간 급등했던 주요 금융지주와 은행의 주가가 올해 들어 뒷걸음질 치고 있다. 가계부채 집중관리 등으로 은행의 이익을 끌어올린 큰 폭의 대출 성장이 제한되면서 실적 둔화를 피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B금융과 신한지주, 하나금융, 기업은행, 우리은행 등 주요 금융지주·은행주의 주가는 연초 이후 평균 1.41% 하락했다. 2016년과 지난해 각각 평균 24.67%, 33.39% 상승한 것과 대조적이다.
 
은행주의 주가는 지난 2년간 가계대출 급증에 이익이 늘어나면서 상승 흐름을 보였다. 가계대출은 박근혜 정부가 추진한 부동산 중심의 경기부양책과 사상 최저 수준의 금리가 맞물리면서 폭발적으로 늘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보면 2008년부터 2014년까지 평균 57조원씩 증가했던 가계대출은 2015년부터 연간 100조원 이상씩 늘어났다. 가계대출 총액은 2014년 1000조원을 돌파했고 지난해 말에는 1370조원까지 불었다. 빌려준 돈의 규모가 커지면 은행이 거둬들이는 이자 이익도 그만큼 늘어난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2014년 10월 2%에서 2016년 1.25%까지 낮아졌다가 지난해 11월 1.5%로 인상됐다.
 
기준금리 인하는 대출 수요 촉진뿐 아니라 저원가성 예금 증가와 은행의 조달 비용 하락으로 이어져 순이자마진(NIM)도 상승시킨다.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돈을 빌린 사람의 이자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연체율을 떨어뜨리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 기조가 가계부채를 집중 관리하는 방향으로 바뀌면서 은행주를 둘러싼 환경이 바뀌었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개인 소득 기준 세계 최고 수준의 가계부채 규모를 갖고 있다"며 "과다한 가계부채가 궁극적으로 소비 위축에 따른 경기침체 및 시스템 안정성 약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부채 확대에서 구조조정 중심으로 정책 기조 전환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전날인 21일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누르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당국은 다음 달 중 가계부채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금융권에 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 대출 등 가계부채 취약부문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라고 요구했다.
 
부동산 대책에 따라 강화된 LTV(담보인정비율) 규제를 회피하기 위한 신용대출 및 개인사업자 대출 여신심사가이드라인 위반 사례 등을 수시로 집중 점검해 엄중 조치하겠다는 경고도 했다.
 
서 연구원은 "정부의 정책은 국내 은행의 향후 수익성과 성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주택대출 규제로 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 대출로 성장의 기회를 마련했던 은행들이 이마저도 제약이 많아져 새로운 성장 통로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KB금융과 하나금융 등에 금융권에 대한 채용비리 이슈가 두드러지면서 경영 안정성이 흔들리고 있다는 점도 은행주에 대한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풀이된다.
 
전보규 기자 jbk8801@etomato.com
  • 전보규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