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영택

대형 건설사, 하반기 해외로 ‘골드러시’

지난 7일 대우건설·삼성엔지니어링, 오만 두쿰 정유시설 패키지 1,2 수주

2017-08-09 06:00

조회수 : 10,905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최근 대형 건설사들이 해외에서 잇따라 대형 사업들을 수주하면서 하반기 전망을 밝히고 있다. 무엇보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대책으로 국내 주택경기가 침체될 것으로 관측되면서 해외 사업의 비중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이 건설한 알제리 스키다 정유플랜트 시설. 사진/뉴시스
 
8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은 오만 두쿰(Duqm) 정유시설 패키지 1, 2를 각각 수주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영국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회사인 페트로팩과 50대 50 컨소시엄 형태로 오만 두쿰 패키지 2를 총 2조2000억원에 수주했다. 대우건설 역시 스페인 EPC회사인 테크니카스레우니다스와 손잡고 오만 두쿰 패키지 1을 3조1000억원에 수주했다. 대우건설의 지분은 35%로 약 1조800억원 규모다.
 
앞서 현대엔지니어링과 SK건설도 베트남과 이란에서 초대형 사업을 수주하면서 낭보를 전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베트남 롱손 석유화학단지에 건설되는 정유시설을 3684억원에 수주했고, SK건설 역시 이란 최대 민영 에너지회사인 파르시안 오일앤가스의 자회사인 타브리즈와 정유시설 현대화 기본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처럼 대형 건설사들이 해외 수주 소식이 잇따르면서 하반기 전망도 밝히고 있다. 이날 키움증권의 하반기 ‘건설사 해외수주 보고서’를 보면 현대건설(000720)과 현대엔지니어링은 ▲에콰도르 정유시설(30억달러) ▲이란 제논 정유시설(대우건설 컨소시엄, 28억달러) ▲우즈베키스탄 석유화학(20억달러) ▲투르크메니스탄 비료공장(10억7000만달러) ▲베네수엘라 신규 정유공장(18억달러) ▲바레인 정유공장(13억2000만달러) ▲사우디 송변전 및 가스시설(14억달러) ▲오만 마라픽 두쿰 발전소 및 담수공장(7억달러) ▲싱가포르 매립(7억달러) ▲파나마 교량(6억달러) ▲사우디 킹실만 조선소 준설매립 및 드라이독(8억달러) ▲방글라데시 석탄화력발전(4억달러) ▲쿠웨이트 가스복합화력발전(1억2000만달러) 등을 수주할 것으로 점쳐진다.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의 올해 하반기 총 예상 수주액은 167억1000만달러(18조8154억원) 규모다.
 
GS건설(006360) 역시 ▲가봉 정유(15억달러) ▲투르크매니스탄 De-waxing 정유(3억달러)는 확정단계이며, ▲태국 정유플랜트 납사 크래킹(10억달러) ▲싱가포르 매립(7억달러)  ▲싱가포르 항만 및 메트로 ▲알제리 가스처리시설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플랜트 및 인프라 등은 입찰 예정이거나, 발주처와 협의 중이다.
 
대우건설(047040)은 ▲사우디 신도시 ▲이란 제논 정유시설(현대건설 컨소시엄, 28억달러) ▲러시아 가스플랜트(컨소시엄) ▲오만 마라픽의 두쿰 발전소 및 담수공장(하이플럭스 컨소시엄, 7억달러) ▲베트남 발전플랜트 ▲나이지리아 정유화학플랜트 ▲보츠와나 발전플랜트 등 해외 사업 수주에 나설 계획이다.
 
대림산업(000210) 역시 올해 하반기 ▲이란 기존 MOU 3건(박티아리댐, 플랜트 2건)+신규 1건 ▲사우디 마덴 후속공정(8억3000만달러) ▲필리핀 정유플랜트 ▲말레이시아 발전플랜트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다수 해외사업에 입찰할 계획이다. 다만, 이들 일정은 발주처 상황에 따라 일부 사업의 경우 내년으로 미뤄질 수도 있다.
 
연이은 희소식에도 건설사들은 긴장감을 늦추지 않겠다는 각오다. 과거 건설사간 과당경쟁으로 저가 수주를 벌이면서 실적악화를 키운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대형 건설사들은 지난 몇 년간 괴롭혔던 해외 저가 사업장의 손실처리를 대부분 마무리 했기 때문에 과오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올해와 내년 국내 건설사들에게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라면서 “국내 주택경기가 침체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해외 사업에 대한 중요성이 커졌고, 해외에서 수주를 하지 못할 경우 실적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외 시장의 미래 역시 신규사업 발주 감소 및 저유가 기조 지속 등 불투명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그동안 손실의 주범이던 부실 수주를 막기 위해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영택 기자 ykim98@etomato.com
  • 김영택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