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임유진

http://www.facebook.com/profil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수소경제 성과 내려면

2023-08-17 15:15

조회수 : 2,021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임유진 기자] 한국의 수소 저장·운송 분야 세계 특허 출원 비중은 2011∼2020년 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주요국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수치인데요.
 
특히 한국의 수소 저장·운송 기술의 경우 주요국 대비 경쟁력이 낮아 관련 기술의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17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수소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이같이 집계됐습니다.
 
구체적으로 EU 33%, 미국 23%, 일본 22% 등에 비해 한국의 수소 저장·운송 분야 세계 특허 출원 비중은 미흡한 수준이었습니다.
 
수소는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낮아 저장·운송을 위해 압축이나 변환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들은 장거리 수소 운송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수소를 액체 또는 액상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수소 운송 시장의 경우 기체 기반 운송으로 인해 수소의 유통 범위가 국내로 한정돼 있습니다. 다만 향후 액체·액상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수소 저장 기술을 연계한 운송 인프라 투자가 활성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액화수소 수출입 터미널 등이 대표적인데요. 시장 규모는 오는 2050년에 약 5660억달러 규모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한국은 고압 기체 저장·운송 기술에서는 상용화 단계에 도달했지만, 수소 국제 운송에 필수적인 액화·액상 기술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무협은 "우리나라의 수소 산업 투자가 수소의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한 기술 투자에 치우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는데요.
 
2016∼2020년 정부의 전체 수소 예산 4149억원 중 수소 저장·운송 분야에 투자된 예산은 507억원(12%)에 불과해 수소 전 분야 중 가장 투자 비중이 작았습니다. 지난해 수소경제 전환 예산에서도 수소 저장·운송 분야의 예산은 전체 예산의 4%에 그쳤습니다.
 
수소의 저장·운송 산업 발전을 위해 수소 연구개발(R&D) 사업 특례 기준 제정을 통한 연구개발 비용 지원 확대, 해외 수소 공급망 지원 체계 고도화, 연구개발 시설에 대한 수소법상 각종 규제 면제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임지훈 한국무역협회 수석 연구원은 "수소 경제의 특성상 사업 성과를 즉각적으로 내기 어렵다"며 "투자가 이윤 회수로 직결되지 않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요구된다"고 했습니다. 이어 "향후 도래할 국제 수소 유통 경제에 대비하기 위한 국내 기술 자립과 이를 위한 산업 육성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독일 에를랑엔에 위치한 지멘스 에너지의 수소생산장치 제조 공장.(사진=연합뉴스)
 
임유진 기자 limyang83@etomato.com
  • 임유진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