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성훈

[IB토마토]거세지는 반도체 패권전쟁···삼성전자·SK하이닉스, 투 트랙 가나

미·중 반도체 갈등, 길어지고 있지만 '초미세 반도체'에 국한

2021-10-27 09:30

조회수 : 4,741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이 기사는 2021년 10월 25일 6:0  IB토마토 유료 페이지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김성훈 기자] 초미세 반도체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패권전쟁이 심화하면서 그 불똥이 우리 기업으로 튈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학계에서는 미국이 중요시하는 초미세 반도체는 미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제조하고, 나머지 제품은 중국 등에서 생산하는 ‘투 트랙(Two Track) 전략’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SK하이닉스의 중국 우시 반도체 공장 전경. 사진/SK하이닉스
 
25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미·중 반도체 갈등 장기화로 중국에도 반도체 공장을 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위기를 겪을 수 있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이어지고 있다. 현재 SK하이닉스(000660)는 중국 장쑤성 우시(無錫)에서 D램 메모리반도체를 생산하고 있고, 삼성전자(005930)는 시안(西安)에서 낸드플래시 메모리반도체를 만들고 있다. 
네덜란드 ASML이 생산하는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사진/ASML
 
특히 SK하이닉스에 대한 우려가 더욱 큰 상황인데, 시스템반도체(비메모리) 공정과 마찬가지로 D램 공정에도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를 도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는 반도체 초미세 공정의 핵심으로, 네덜란드 기업 ASML이 생산을 독점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동맹인 네덜란드 정부를 압박해, ASML이 중국에 극자외선 장비를 수출하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
 
이 같은 일부 걱정 어린 전망과 달리,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투 트랙 전략’을 활용해 현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고 말한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미국이 공을 들이고 있는 10나노 이하 초미세 반도체는 우리나라 등 미국과 손을 잡은 국가에서 생산하고, 그 외 반도체는 중국에서 생산하는 방식으로 위기를 벗어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미국이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과 날을 세우고 있지만, 반도체 중에서도 미래 산업과 직결되는 초미세 반도체에 집중하고 있는 점을 이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로 최근 공개된 내용을 보면, 미국 상무부는 ‘거래제한 기업 명단'에 올랐던 중국 기업 화웨이와 중신궈지(中芯國際·SMIC)에 각각 113건, 188건의 수출 라이선스를 발급했다. 화웨이는 중국 최대의 통신장비업체이며 SMIC 역시 중국 최대의 반도체 위탁생산업체로, 총 수출 규모는 우리돈 약 121조2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수출 규모보다 수출 품목이다. 로이터 등 외신에 의하면 허가된 품목 중 대부분이 초미세 반도체 등과 관계가 적은, 덜 민감한 품목이었다. 화웨이에 승인된 113개 라이선스 중에는 80개가, SMIC의 경우에는 188개 중 121개가 민감하지 않은 품목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미국 반도체 기업 중에도 중국 기업과 거래하는 기업들이 있어, 아무리 반도체 전쟁을 벌인다고 해도 중국과의 거래를 완전히 끊을 수는 없다”라며 “초미세 반도체가 아니라면 삼성과 SK가 중국에 공장을 세운다고 해도 미국에서 제재를 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조감도.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도 투 트랙 전략으로 외형을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는 이미 지난 2월 총 4조7500억원을 투자해 앞으로 5년간 약 20대의 극자외선 노광장비를 구매한다는 계약을 ASML과 맺었지만, 현재 경기 이천 공장에만 3대의 장비를 들인 상태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도 미·중 반도체 갈등 장기화를 의식한 결정이라는 분석도 있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오는 2024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생산 예정 품목은 차세대 반도체와 D램이다. 지금은 중국 우시 공장에서 SK하이닉스 D램 생산의 30% 이상을 담당하고 있지만. SK하이닉스가 용인 클러스터에 극자외선 노광장비를 설치할 예정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첨단 D램의 생산은 용인 클러스터에서 맡을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 공장에 장비를 들이지 못해 생산 능력이 낮아지거나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질 가능성은 적다는 것이다.
 
미·중 반도체 갈등의 영향보다 업계와 학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분야는 따로 있다. 김양팽 연구위원은 “초미세 반도체 상용화를 누가 먼저 이루는지가 관건”이라며 “인텔이 2024년 2나노 반도체 개발을 외치고는 있지만, 당면한 3나노 경쟁에서는 삼성전자가 내년 상반기 출시를 선언하면서 하반기 출시를 밝힌 TSMC에 앞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반도체 위탁산업은 업계 특성상 먼저 양산에 성공한 기업이 시장 점유율 확대와 신규 고객 확보의 기회를 독식할 수 있어, 양산 시기가 매우 중요하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삼성이 3나노 반도체를 먼저 시작하는 만큼 2나노 반도체의 개발과 양산에서도 우위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라며 “내년 상반기가 반도체 업계의 판이 바뀌는 시점이 될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김성훈 기자 voice@etomato.com
 
  • 김성훈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