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최용민

yongmin03@etomato.com

하루하루 버티는 당신에게 힘이 되는 기사를 쓰겠습니다.
(건설사 사업다각화①)저가 수주 지양…플랜트 인력 감축

지난해 깜짝 실적…올해 해외수주 300억달러 달성 '빨간불'

2021-10-13 07:00

조회수 : 4,448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국내 한 건설사가 시공한 해외건설 현장.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최용민 기자]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건설 시장에서 여전히 더딘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들어 수주액은 전년 동기를 밑돌고 있고, 향후 전망도 부정적인 시각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해외건설의 주력 사업 분야인 플랜트 부문도 전반적으로 힘을 잃어가는 모습이다. 플랜트 사업 축소로 주요 건설사들의 플랜트 부문 인력도 크게 줄어들고 있다.
 
12일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올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181억2313만6천달러로 전년 동기(185억1268만8천달러)보다 2.1% 하락한 수치를 기록했다. 전통적인 수주 텃밭인 중동에서 55억8463만5천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84억7474만2천달러)보다 34.1%나 급락하면서 평균 수주액을 끌어내리고 있다.
 
지역별 수주액 1위를 차지한 곳은 아시아지역으로 78억8777만달러를 수주하며 전년 동기(79억5001만2천달러)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수주액 규모는 작지만, 전년보다 크게 상승한 지역은 태평양·북미 지역으로 15억4326만6천달러를 수주하며 전년 동기(5억2001만3천달러)보다 3배 가까이 수주액이 늘었다.
 
올해 연말 해외건설 수주 전망도 밝은 상태는 아니다. 올해 전체 수주액은 물론 분기별 수주액이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4분기 수주액도 크게 반전을 일으키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동 발주가 여전히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회복세로 돌아서기는 힘들다는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올해 수주액이 300억달러를 넘지 못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올해 뿐 아니라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건설 수주는 수년 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010년 715억달러까지 기록한 해외건설 수주액은 대규모 손실 사태를 겪으면서 꾸준히 하락했고, 결국 2016년 281억달러 수준을 기록한 이후 회복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후 2019년 223억달러까지 급락한 이후 지난해 351억달러까지 회복했지만, 올해는 300억달러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해외건설 수주 부진이 국내 건설사들의 경쟁력 하락보다는 과거 대규모 손실 경험에 따른 것으로 평가한다. 저가 수주로 인한 손실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과거보다 수주에 좀 더 신중해졌다는 평가다. 특히 단순 공사에 집중했던 과거보다 고부가가치 공사 수주에 더욱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매출 확대를 위한 전체 수주액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과거처럼 대규모 손실로 이어질 경우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라며 “최근에는 저가 수주는 지양하고, 수익을 남길 수 있는 공사인지 여부에 수주 전략을 집중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해외건설 주력 사업 분야인 플랜트 부문 인력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해외건설 주요 일거리가 플랜트라는 점에서 해외건설 수주 감소는 플랜트 인력 감소로 직결되고 있는 것이다. 일거리가 없다보니 회사를 나오거나, 다른 부문으로 인력 배치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기준 GS건설 플랜트 부문 인력은 1460명으로 전년 동기(2048명)보다 28.7% 줄었다. GS건설 뿐 아니라 같은 기간 현대건설 및 대우건설, DL이앤씨 등 대부분 주요 건설사들도 플랜트 인력이 감소했다. 특히 플랜트 인력 감소가 건설사 전체 인력 감소를 이끌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과거와는 다른 전략적 접근을 통해 해외건설 시장에서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제 해외건설 수주는 기업 간 경쟁을 넘어 국가 간 경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태홍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동향브리핑에서 “우리가 지향하고 달성해야 할 목표는 해외건설 시장 점유율 1위나 건설 5대 강국이 아니라, 해외건설을 국가 경제성장의 한 축으로 완성하는 것”이라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은 해외건설을 수출 상품이 아닌 하나의 비즈니스로 인식하고, 국가와 기업의 역량을 응집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최용민 기자 yongmin03@etomato.com
  • 최용민

하루하루 버티는 당신에게 힘이 되는 기사를 쓰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