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재홍

반도체 전문가들 “국내 AI·차량용반도체 경쟁력 60점 수준”

2021-05-06 11:00

조회수 : 2,390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김재홍 기자] 국내 인공지능(AI) 및 차량용 반도체 경쟁력은 선진국 대비 크게 뒤쳐져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재 육성, 인프라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와 공동으로 반도체 산업 전문가 100명(학계 60명, 산업계 4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6일 공개했다. 설문 참여 전문가들은 AI 및 차량용 반도체 설계 분야,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이 선진국 대비 6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진단했다. 
 
주요 반도체 기술 및 밸류체인 분야별로 최고의 선도국가 수준을 100으로 볼 때 우리나라 반도체의 기술 경쟁력은 △인공지능 반도체 소프트웨어(56)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56) △차량용 반도체 설계(59) 부문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로 꼽히는 분야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장비(60) △부품(63) △소재(65) 등 반도체 후방산업으로 반도체 생산성과 품질을 좌우하는 요소들의 기술 수준도 낮게 평가됐다. 
 
기술경쟁력이 낮은 분야일수록 인력도 더욱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산업 현장의 전문 인력 수요(100) 대비 국내 수급 현황에 대해서도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55) △차량용 반도체 설계(55) △인공지능 반도체 소프트웨어(56) 부분의 인력난이 심각한 것으로 인식됐다. 
 
분야별 우리나라 기술 경쟁력 및 인력 수급 수준. 자료/전경련
 
전경련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시스템반도체 사업 부문은 주로 IT용 반도체에 중점을 두고 있어 인공지능 및 차량용 반도체 분야는 상대적으로 열위에 있다”면서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급진전할 기술 분야에 대한 경쟁력 확보와 시스템반도체 육성 차원에서 반드시 투자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우려되는 점으로는 ‘반도체 고급 기술 인력 수급 및 양성 시스템 부족’(14.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문가들은 △주요국의 자국우선주의 심화로 인한 글로벌 밸류체인 불안정(13.5%) △국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의 글로벌 경쟁력 미비(12.3%)도 우려된다고 꼽았다. 
 
최근 정부와 국회 등에서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반도체 산업 발전법안 마련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 전문가들은 ‘기업의 생산시설 및 연구개발(R&D) 투자에 대한 과감한 세제지원’(23.0%)을 가장 우선적으로 정책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및 테스트베드 확대(18.7%) △중장기 인력 양성 계획(15.7%) △R&D 부문의 주 52시간 근무제 유연성 강화(9.3%) △건설·환경·안전 인허가 패스트트랙(8.7%) 등의 반영도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한편, 전경련은 반도체 제조시설 및 R&D 투자에 대해 50%까지 세액공제 확대, 우수한 반도체 전문 인재양성을 위한 반도체 관련 대학 전공 정원 확대 및 장학금 지원, 건설·환경·안전 관련 규제 완화와 인프라 구축 행정 지원 등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주요 정책과제의 개선을 건의했다.
 
김재홍 기자 maroniever@etomato.com
  • 김재홍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