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백주아

바이든 중국 견제에 배터리 3사 '반사효과' 기대

중국 기업 진출 장벽 높아질 가능성…미국 업체 성장까지는 상당 시간 필요

2021-03-02 06:02

조회수 : 2,445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백주아 기자] 미·중 무역 갈등의 연장선에서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검토 지시가 내려짐에 따라 국내 배터리 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다른 동맹국과 협력을 강화하면서 중국 배터리 업체의 미국 진출이 사실상 더 어려워 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당장 미국이 자국 배터리 산업을 육성할 수도 있지만 기술 격차를 좁히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배터리 3사가 반사효과를 누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든 미 대통령은 전기차용 대용량 배터리를 비롯해 반도체 칩, 희토류, 의약품 등 수급 애로를 겪는 4대 핵심 품목 공급망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렸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조치가 공급처 다변화를 위한 수순"이라면서도 "중국이나 적대국에 과잉 의존하는 것은 해결돼야 할 핵심위험"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임 기간부터 이어져온 미중 갈등의 연장선에서 중국에 대한 과잉 의존을 끊어내고 한국을 비롯한 다른 동맹국과의 협력을 강화한다는 의미다. 
 
이에 국내 배터리 기업들도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정책 추진에 따라 전기차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안정적 배터리 공급을 위해 중국을 뺀 한국과 일본 배터리 기업 배터리과의 거래가 늘릴 수밖에 없는 환경이 마련된 것이나 다름 없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 공장은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096770), 일본 파나소닉과 중국 ASEC 라인이 전부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든 행정부는 오는 2026년까지 신규 판매되는 25%는 친환경차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고 이를 위해선 최소 대략 200기가 이상의 설비가 필요하다”면서 "지금부터 현지 공장 증설이 본격화돼야만 단기간 내 목표를 맞출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LG에너지 솔루션과 제너털모터스(GM) 합작사 '얼티움 셀즈'의 골조 공사 현장. 사진/GM
 
배터리 3사 중 가장 먼저 미국 내 배터리 공장 증설에 나선 LGES(당시 LG화학)은 지난 2011년 9월 미시간주 홀랜드에 6000억원을 들여 전기차배터리 1공장을 준공하고 본격적으로 생산에 들어갔다. 생산능력(캐파)은 연간 5기가와트시(GWh)에 이른다. 이후 2019년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법인 '얼티엄 셀즈'를 세우고 오하이오주 로즈타운에 전기차 배터리 2공장 증설을 위해 2조7000억원을 투입했다. 양사는 연산 30GWH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고 미래 GM 캐딜락 전기차 등 여러 GM자동차 모델에 장착할 모듈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이다. 
 
LGES 관계자는 "당사는 미국 내 공장 캐파가 충분하고, 앞으로도 GM 조인트 벤처(JV)와 합작으로 캐파 확대에 따라 배터리 생산량이 더욱 늘어나면서 수주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면서 "기존 공장을 기반으로 캐파 확대 전략 기조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이 미국 조지아주에 짓는 제1 배터리 공장 현장. 사진/SK이노베이션
 
SK이노의 경우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9.8GWh 규모 제1공장을 올 상반기 중 시험 가동하고 내년에 폭스바겐에 납품할 배터리를 본격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포드사에 납품할 전지를 만드는 2공장의 경우 캐파는 11.7GWh로, 오는 2023년 가동 예정이다. 
 
삼성SDI의 경우는 테슬라에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중대형 배터리를 공급중이나, 아직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 공장 거점을 확보하지 못했다. 삼성SDI는 지난 2016년 헝가리 북부 괴드지역에 4000억원을 투자해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공장을 증설하고 지난 2018년부터 가동 중이다. 다만 올해 하반기부터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젠(Gen)5' 출시할 예정인만큼 추후 미국 시장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배터리 3사의 기대감에도 리스크는 존재한다. 당장 LGES의 경우 현대차(005380) 코나EV 등 일부 전기차종 화재 리콜에 따른 비용 분담 문제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SK이노는 LGES와의 영업비밀 침해 소송 관련 ITC 최종 패소 판결에 따라 미국 내 사업 확장에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미국이 자국 배터리 산업 육성 지원을 통해 자체 배터리 양산에 집중할 수도 있다. 포드의 경우 지난달 24일(현지시간) 전기차 배터리 수급의 안전성을 확보를 위해 미국 내 자체 생산을 통해 외부 의존도를 낮추겠다고 밝혔다. 앞서 테슬라의 일론머스크는 지난해 9월 향후 5년 이후에 자체적인 배터리를 제작해 원가 절감과 향후 수요 증가에 대비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다만 업계에서는 배터리 생산 공정 기술 격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크게 위협적이지 않다는 분위기다. 
 
백주아 기자 clockwork@etomato.com
  • 백주아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