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정기종

늘어나는 '홈술·혼술'…내 몸 알코올 분해 능력은

잦은 음주·잘못된 습관 등 건강 악화 초래할 수 있어 주의 필요

2021-01-22 05:00

조회수 : 2,410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술을 집에서 마시는 '홈술족'과 혼자 마시는 '혼술족'이 부쩍 늘어난 가운데 간손상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 사진/GC녹십자지놈
[뉴스토마토 정기종 기자]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술을 집에서 마시는 '홈술족'과 혼자 마시는 '혼술족'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방역수칙을 지키며 집에서 안전하게 술을 즐기는 것은 좋지만, 잦은 음주나 잘못된 습관 등은 간손상 등의 건강 악화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개한 '2020년 주류 소비·섭취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음주 장소에 변화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 가운데 92.9%는 바뀐 장소로 '자신의 집'을 택했다. 술자리 상대의 경우 과거에는 친구·선후배(90.0%), 직장 동료(72.8%)가 주를 이뤘던 반면, 코로나19 이후에는 혼자(81.9%)가 1위를 차지했다.
 
이제는 제법 익숙해진 홈술과 혼술은 자칫 잘못된 음주 습관을 형성해 알코올 의존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술을 편안한 분위기에서 마시는 탓에 음주량 제어가 잘 되지 않고 습관화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평소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음주 습관이 예상치 못한 건강 악화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잦은 음주가 건강에 해롭다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다. 실제로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1분에 6명 꼴로 술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도한 음주가 지속되면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음주의 가장 큰 위험성은 간 손상을 야기한다는 점이다.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인 간은 '인체의 화학공장'에 비유되며 수 많은 기능을 하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다. 간은 신체 에너지 관리와 해독작용, 호르몬의 분해와 대사, 단백질과 지질의 합성, 면역 조절 등 신체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생화학적 대사 기능의 대부분을 담당한다. 따라서 간 질환이 발생하면 우리 몸의 기능이 광범위하게 손상될 수 있다는 점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알코올이 야기하는 대표적인 간 질환은 바로 알코올성 지방간과 '간경화'로 잘 알려진 간경변이다. 알코올 중독자가 많은 서양의 연구에 따르면, 알코올 80g(소주 300~400cc, 맥주 1500~2000cc 정도)을 15년 이상 매일 마신 사람의 약 3분의 1 정도에서 간경변이, 다른 3분의 1에서는 지방간이 발견됐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술이 원인이다. 지속적으로 술을 섭취하면서 간에서 지방 합성이 촉진되고 정상적인 에너지 대사가 이뤄지지 않아 발생한다. 정상 간의 경우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5% 이내인데, 이보다 많은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지방간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지방간은 가벼운 병이지만 지방간 환자 4명 중에 1명은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심각한 간질환인 간경변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경변은 정상 간세포들이 파괴되고 흉터 조직으로 대치돼 정상 간 조직의 양이 줄어들게 되는 만성 간질환을 통틀어 칭하는 용어로, 간 전체에 흉터가 생긴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렇게 간에 광범위하게 흉터가 생기게 되면 간 조직의 혈액순환이 어렵게 되고, 간 조직의 양이 줄어들어 생명의 유지에 매우 중요한 기능의 일부를 원활히 할 수 없게 된다. 일단 간경변이 발생하면 원상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자신에게 맞는 올바른 음주 습관으로 발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량은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술을 한 잔만 마셔도 얼굴이 붉게 변하고 취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몇 병을 마셔도 겉으로 티가 나지 않고 거뜬한 사람도 있다. 이는 사람마다 알코올 분해 능력이 다르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술의 주성분인 알코올은 몸속에 들어오면 두통과 숙취를 일으키는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며, 이는 다시 아세트산으로 분해돼 몸 밖으로 배출된다. 결국 이 두가지 과정이 진행되는 속도가 알코올 분해 능력인 셈이다.
 
우리 몸의 ADH1B 유전자와 ALDH2 유전자는 각각 알코올 분해 효소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소의 합성에 관여하기 때문에, 유전자 검사를 통해 개인의 알코올 분해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전국 수십 개 의료기관에 개인별 알코올 분해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전요인을 확인하는 '알코올 리스크 스크린' 검사를 통해 가능하다.  
 
알코올 리스크 스크린 검사는 간편한 혈액 채취 한 번으로 관련 유전 요인에 의한 알코올 분해 능력과 음주 습관에 따른 알코올 의존도, 숙취해소에 좋은 식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알코올 분해 능력의 경우, 일반적인 수준의 '표준형', 알코올 분해가 빨라 폭음 위험이 있는 '알코올 의존주의형', 알코올 분해가 느린 '알코올 위험형', 알코올 분해가 매우 느린 '알코올 고위험형'으로 구분된다. 만약 본인이 평소 술을 좋아하고 자주 마신다면 본 검사를 통해 유전적 요인에 의한 알코올 의존성(중독) 위험도를 확인해볼 수 있고, 평소 음주 시 가슴 두근거림 및 얼굴 붉어짐을 자주 느꼈다면 유전적으로 알코올 분해가 잘 되지 않게 타고난 것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설창안 GC녹십자지놈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알코올은 1급 발암물질로 간 손상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과 암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음주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라며 "유전자 검사를 통해 자신의 알코올 분해 능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맞는 건강한 음주 습관을 들인다면 장기적인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기종 기자 hareggu@etomato.com
  • 정기종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