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실적·수출·내수 모두 '부진' 철강업계 "핵심사업이라도 지키자" 철강업계가 지난해 4분기 경영실적 발표를 앞두고 가파른 영업이익 감소를 예고하고 있다. 신년에도 수출과 내수 모두 부진 전망이 나오면서 한껏 움츠러든 모양새다. 주요 기업인 포스코와 현대제철 모두 신년 목표를 ‘핵심사업 지키기’에 집중하며 보수적인 관망을 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철강기업들은 지난해 10~12월 경영실적 악화를 예고하고 있다. 포스코... '규모의 경제' 노리는 일본 철강업계…"국내 코일센터 구조재편 필요" 장기 불황을 겪고 있는 일본 철강 제조·유통 업계가 생존을 위한 통합·재편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를 거울삼아 국내 철강 유통망인 코일센터들도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은 1990년대부터 이어진 철강시장 불황으로 철강사와 철강상사, 코일센터 등 관련 업체의 구조 개편을 지속 추진 중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이뤄진 철강사와 철강상... (2020 위기가 기회다)조선 'LNG 굳히기'·철강 '프리미엄 승부수' 지난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이 전년 대비 40% 가량 감소한 가운데서도 한국 조선업계가 독점하며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은 LNG선 ‘대세’는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후방산업인 철강업은 장기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프리미엄' 제품으로 승부수를 띄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메이저 LNG선주사들은 여전히 LNG선박량이 늘어나는 LNG화물 수송량을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국제사회 "탄소세 추진"…유화·철강업계 '예의주시' 최근 국제사회에서 수출 제품 가격에 ‘탄소세’를 붙이자는 주장이 잇따라 제기되자 국내 석유화학·철강업계들의 긴장감도 커지고 있다. 업계는 논의가 구체화할 경우 별도의 공정 개선을 통해 대응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국제연합(UN) 사무총장은 지난 1일(현지시각) 스페인 마드리드서 열린 제25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 기자회견에서 “화석연료 ... 내년 세계 철강시장 성장 고작 1%…고부가가치화만이 살 길 내년 전 세계 철강시장 성장률이 1%대에 그칠 전망이다. 국내 철강 수요도 이미 최대치에 달해 추가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다. 다만 건설·자동차·조선 등 주요 산업에서 친환경·스마트화가 진행되는 만큼 이에 특화한 고부가가치 제품개발이 이미 성숙기에 접어든 철강 산업 경쟁력 강화의 핵심 요인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KDB산업은행 미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