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차기태의 경제편편)김우중의 이루지 못한 꿈 지난 1992년 1월 김우중 당시 대우그룹 회장은 출입기자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10박11일동안 북한을 방문하고 돌아와서 마련한 자리였다. 김우중 회장은 밝은 표정으로 당시 북한의 김일성 주석과 만나서 한 말을 비롯해 방문소감을 밝혔다. 그렇지만 필자에게는 그가 부친에 관한 소식을 들었는지가 몹시 궁금했다. 김우중의 부친은 1950년 한국전쟁 때 서울에 있다가 납북됐다. 필자... (데스크칼럼)만시지탄 정치, 경제 망치지 말라 시간을 20년 정도 거슬러 16회 국회. 지금은 정계에서 은퇴했지만 당시 유력 정치인과 사석에서 만날 기회가 있었다. 사회부를 거쳐 정치부 기자로서 열정에 가득 차 있던 때라 자뭇 궁금한 것이 많았다. 쉽지 않은 자리이기에 용기 내어 던진 질문은 "법은 왜 만들고 고치는가"였다. 정말 아주 기초적인 질문이었지만 한번쯤 대답을 듣고 싶었다. 당시 국회의 풍경도 사실 작금의 풍경... (차기태의 경제편편)재벌 흉내내는 사립대학 최근 끝난 국정감사에서 대학들의 적립금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다시 제기됐다. 해마다 제기된 일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거의 개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교육부와 자유한국당 김현아 의원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국내 4년제 사립대학이 쌓아둔 적립금은 7조8260억원을 헤아린다. 전년 대비 1788억원(2.2%) 감소했다. 사립대학의 과도한 적립금에 대한 비판이 ... (차기태의 경제편편)'지천명'을 맞이한 삼성전자와 대한항공 한국을 대표하는 2개의 대기업이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이했다. 반도체에서 세계1위에 우뚝서 있는 삼성전자와 '한국의 날개' 대한항공이 그 주인공이다. 나란히 '지천명(知天命)'의 나이가 된 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일 경기도 수원 삼성디지털시티에서 창립 50주년 기념행사를 열었다. 이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도전과 기술, 상생'을 통해 미래 세대에 물려줄 '100년 기업'을 만... (차기태의 경제편편)민간소비 살리기 왜 어려울까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다시 주저앉았다. 2분기에는 전기대비 1.0% 성장해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났나 싶더니 다시 0.4%로 추락한 것이다. 예상보다 저조한 성적이다. 증권시장의 용어를 빌려보자면 이론의 여지없는 ‘실적충격’이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연간 2.0% 성장 달성도 쉽지 않아 보인다. 만약 2%대 성장에 실패한다면, 세계금융위기가 발생한 2009년(0.8%) 이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