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이수앱지스·경북대, 알츠하이머 타깃 'ASM 항체 치료제' 공동 연구개발 이수앱지스와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알츠하이머에서 나타나는 뇌혈관 장벽 손상 기전에 대한 치료 타깃 물질을 활용해 항체 신약 개발에 나선다. 이수앱지스는 경북대 산학협력단은 'ASM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특허의 기술이전과 이에 기반한 새로운 알츠하이머 타깃 ASM 항체 신약 개발의 공동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 치매 치료제, 마땅히 없지만 개발은 꾸준 가정의 달을 맞아 치매 환자로 고통을 겪는 가족 사례가 사회에 환기되면서 관련 치료제 개발 동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개발 난이도가 높아 아직 정복되지 않은 질환으로 꼽히지만 늘어나는 환자수와 높은 시장성에 외산은 물론, 국산 치료제들 역시 차분히 개발을 이어가는 중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받은 치매 치료 물질은 단 4종(도네... 70세 이상 '치매' 주의보…60대 대비 1208%증가 70세 이상에서 치매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전 연령(60대)에 비해 환자 수 증가율이 1208.8%에 달해 해당 시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2018년 치매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7일 어버이날(5월8일)을 맞아 부모님들이 건강한 노년생활을 위해 미리 대비하고 주의해야 할 질병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작... 치매연구에 힘 싣는 정부…국산 치료제 개발 박차 국내 정부가 잇따라 치매연구 힘 싣기에 나섰다. 10년간 1조원 이상 투자를 결정하는가 하면, 정부 중심의 합동 연구단이 새로운 방식으로 치료제 개발에 접근하는 등 국산 치료제 출현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지난 15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치매DTC융합연구단은 현재까지 치매치료 신약 선도물질 4종을 확보했으며 이 가운데 1종을 연내 최종 후보물질로 선정할 예정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