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 법안, 국방위 소위 통과 양심적 병역거부에 따른 대체복무제도 내용을 담은 '대체역의 편입 및 복무 등에 관한 법률' 제정안 및 병역법 개정안이 13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위원회를 통과했다. 국방위는 이날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고 큰 틀에서 정부가 제출한 원안을 유지한 채 대체복무 법안을 통과시켰다. 해당 법안의 최대 쟁점으로 작용했던 대체복무 기간은 36개월, 시설은 '교도소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 양심적 병역거부자 "실형 억울하다"..국가소송 패소 실형을 선고받고 복역한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이 "위법한 수사와 재판으로 형사처벌을 받았다"며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냈으나 패소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25부(재판장 장준현)는 김모씨(27) 등 50명이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원고패소 판결했다고 15일 밝혔다. 김씨 등은 2005년에서 2007년 사이 입영통지를 받았으나 종교적 양심을 이유로 입소하지 않았다. ... 국회, 양심적 병역거부자 대체복무제 도입 추진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해 대체복무제 도입이 추진된다. 전해철 민주당 의원은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해 대체복무제를 도입하는 '병역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법안은 현역병 입영 대상자나 보충역 처분을 받은 사람 중 종교적 신념 등의 이유로 병역의무의 이행을 거부하고자 하는 사람은 지방병무청에 대체복무를 신청하도록 했다. 또 대체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