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택시-카풀 대타협에도 개인 택시기사는 걱정 한가득 승용차공유서비스와 관련한 택시기사의 네 번째 분신사건이 발생했다. 택시 업계는 생존권 보호를 위해 집회를 열며 '타다' 운행 반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택시·카풀업계 상생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기구가 지난 3월 제한적 카풀을 허용하는 합의안을 도출했다. 대타협기구에서 정부와 택시업계는 감차 방안에 기본적으로 합의했지만, 한편으로 택시업계는 자격유지검사제도 ... 김현미 국토장관 "택시업계에 '우버 시스템' 도입 제안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택시업계의 사납금제 중심의 급여 체계에 문제점이 크다고 지적하고, 업계에 이른바 '우버 시스템' 도입을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장관은 21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완전 월급제를 시행하지 않는 한 택시 노동자들의 어려운 상황은 절대 개선될 수 없다"며 이 같이 밝혔다. 택시 기사가 요금으로 하루 동안 벌어들인 금액 중 일정액... "운송비용 내려줬더니 사납금 올려?"…서울시 택시회사에 '칼' 택시기사에게 유류비, 세차비 등 운송비용 부담을 금지한 택시발전법이 정작 현장에서 사납금 인상의 결과를 낳자, 서울시가 행정처분 카드를 꺼내들며 제제에 나섰다. 29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서울 등 대도시부터 시행된 택시발전법은 제12조 운송비용전가금지제도를 통해 택시사업자(운수업체)가 기사(운수종사자)에게 택시 구입 및 운행에 드는 비용을 부담하게 하지 못하도... (토마토칼럼) '싸우게 되는 구조'를 고쳐야 택시기사들과 대리운전기사들이 '견원지간'이던 때가 있었다. 2000대 초반 대리운전이 전국적으로 퍼지면서 대리운전법 제정 움직임이 일자 영업에 위기감을 느낀 택시업계는 정부에 대리운전업체의 불법영업을 단속·처벌하라는 압력을 넣으며 대리운전 법제화를 방해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두 업계 간 영업경쟁에 신고와 법적 분쟁까지 동원됐다. 대리운전기사들이 회당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