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의학칼럼)인공지능과 외과의사 구글의 ‘알파고’라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세계 바둑계 대표선수인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서 예상을 깨고 압도적 승리를 거둔 일은 인공지능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큰 충격을 주었다. 바둑은 이미 인공지능이 인간에 승리를 거둔 바 있는 체스, 장기에 비해 훨씬 복잡한 게임이다. 경우의 수가 무려 10의 360승에 이른다고 하니 한 수 한 수 둘 때마다 얼마나 많은 생각... 한미, AI 기반 사이버보안기술 공동 개발 추진 한국과 미국이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사이버보안기술 공동 개발을 추진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미국 국토안보부와 사이버보안 분야에 지능형 정보기술을 적용한 미래형 연구개발(R&D)을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하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양국이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분야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AI를 활용해 사이버공간의 위협을 탐지, 분석, 예방하... 뉴노멀시대 한국경제 이끌 10대 전략은? 정부가 저성장이 일상화되는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파고를 뛰어넘기 위한 생존전략으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는 2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뉴노멀 시대의 10대 성장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뉴노멀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에 등장한 새로...  가벼워진 인공지능, 오프라인으로 가다 인공지능의 발전을 가능케 한 머신러닝(기계학습)은 '전력 먹는 하마'다. 가장 진화된 머신러닝으로 꼽히는 딥러닝은 인간의 뇌 속 신경세포를 모방해 만들어졌는데 수십에서 수백층 깊이의 인공신경망을 통해 기계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했다. 알파고에는 모두 48층의 인공신경망이 사용됐는데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구동됐다. 페이스북의 사진 태그 기능과 구글의 음성검색,... (시론)인공지능의 위협과 기회 인공지능(AI) '알파고'가 이세돌 9단과의 바둑 대국에서 승리한데 이어, 지난 11일, 컴퓨터 소프트웨어 '포난자'가 일본 장기의 고수 야마자키 다카유키와의 첫 대국에서 이겼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인간지능계의 최고 수준인 프로 기사들이 인공지능에 밀리는 모습을 보며 많은 사람들이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인공지능 때문에 인간의 일자리도 사라지고, 또 인공지능이 나쁜 의도를 갖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