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11시시황)코스피, 1940선..신한지주 낙폭확대 순이자마진 둔화로 급락중인 신한지주(055550) 주도로 지수가 1950선을 이탈했다. 삼성그룹주도 동반 하락중이다. 5일 오전 11시 현재 코스피는 전일대비 0.7% 내린 1949.11을 기록중이다. 같은시각 코스닥은 0.3% 오른 600.29에 거래되고 있다. 상해종합지수는 0.8%로 상승폭을 반납했다. WTI 3월물은 0.89% 오르고 있다. 개인은 1109억원 순매수중인 반면 기관과 외... 코스피, 유가 반락에 정·화·조·건설 하락..1960선 이탈(9:20)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에 1960선을 이탈해 낙폭을 키우고 있다. 5일 오전 9시15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6.09포인트(0.31%) 내린 1956.42를 지나고 있다. 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국제 유가가 8% 이상 반락한 가운데 그리스 협상 우려감이 재개되며 뉴욕증시가 혼조 마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매도로 출발해 69억원, 기관은 7... 포스코인재창조원 개원..‘창의적 인재’ 육성 포스코(005490)가 그룹 전체의 인적 경쟁력 극대화를 위해 4일 포스코인재창조원을 개원했다. 포스코인재창조원은 포스코, 포스코경영연구소 및 각 그룹사에 흩어져 있던 교육 인력과 기능을 통합해 포스코 그룹 전체 임직원에게 그룹 공통의 경영 비전을 전파하고,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통합 교육법인에서 퇴직했거나 퇴직을 앞둔 우수 임직원... 동국제강, 12년째 이공계 장학금 전달 동국제강(001230) 산하 송원문화재단은 4일 전국 12개 대학 48명의 이공계 대학생에게 총 1억9200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이공계 대학생을 육성하기 위해 지난 2004년부터 12년째 이어져 온 동국제강의 대표적인 장학사업이다. 동국제강 산하 송원문화재단은 이날 이공계 장학생을 동국제강 부산공장에 초청해 장학증서를 수여하고 공장 견학을 진행했다. 장학증서를 수여 ... (2시시황)코스피, 1960선 중반 횡보 코스피가 1960선 중반을 횡보하고 있다. 4일 오후 2시4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2.29포인트(0.63%) 오른 1964.25를 지나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809억원, 315억원을 사들이고 있다. 개인은 2080억원을 순매도 중이다. 업종별로는 유통(1.74%), 건설(1.57%), 운수창고(1.55%), 음식료(1.43%), 철강금속(1.25%), 기계(1.07%), 증권(0.92%) 순으로 오르고 있... 철강 시장, 수입산이 40% 점령.."위협 심화" 국내 수입되는 철강이 전체 수요 대비 41%로 추정되면서 3년 만에 점유율 40%선을 다시 넘었다. 25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까지 집계된 국내 철강수요는 전년 대비 7.7% 증가한 5105만톤이었으나, 수입량은 17.5% 증가한 2089만톤으로 내수 대비 수입재 비중이 40.9%를 기록했다. 지난 2011년 41.0%로 고점을 찍은뒤 2012년 38.3%, 2013년 37.5%로 지속 감소했다가 지... 저유가 시대, 철강업 '희비'..강관 '울고' 전기로 '웃고' 저유가 기조가 지속되면서 철강업계 내에서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미국발 셰일가스 붐의 직접적인 호재를 누렸던 강관업체들의 전망은 극히 어두워진 반면 전기요금에 민감한 전기로 업체들은 수혜를 누릴 것이란 예상이다. ◇국제 유가 동향(자료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센터)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국내 유정용 강관 수출의 약 98%를 차지한다. 전체 강관으로 범... 배출권거래제 시행..철강업계, 온실가스 감축 '골머리' 올해부터 시행된 배출권 거래제로 인해 철강업계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정부가 배정한 할당량 기준을 적용할 경우 생산량 감축이나 과징금 추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중국산 수입재의 공세, 경기침체로 인한 전방산업 수요 감소 등 업황이 극도로 악화된 상황에서 배출권 거래제마저 겹치면서 부담은 이중, 삼중으로 늘었다. 20일 한국철강협회 추정치에 ... 산업부 "생산구조 개선·FTA 활용해 철강업 체질개선" 정부가 국내 철강업계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부가가치 생산구조를 구축하고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한 해외시장 진출과 수출을 확대하기로 했다. 1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철강업계 신년 인사회 및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열고 철강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철강업계는 생산과 수출, ... (2015 산업 전망)조선·해운 '우울', 철강 '개선' 국내 대표적 수출산업인 조선·해운·철강이 올해 심각한 부진을 겪었다. 물고 물리는 순환구조 탓에 전방산업의 부진 여파가 전 업종에 걸쳐 이뤄졌고, 특히 세계 1위를 자랑하던 조선은 중국과 일본의 맹추격에 샌드위치 신세로 전락하며 대표선수로서의 위상을 잃었다. 지난해 호황기 수준의 신규 수주를 기록하며 살아난 듯 보였던 조선업은 올 들어 심각한 수렁에 빠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