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관련기사 (2020 국감)홍남기 "표준임대료·신규 계약 전월세 상한제 검토한 적 없어"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표준임대료를 검토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의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조폐공사 등 종합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23일 홍남기 부총리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표준임대료 제도 도... 아파트 전셋값 5년6개월만 최대 상승 서울에서 시작된 전세난이 전국으로 퍼지면서 이번주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5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22일 한국감정원에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10월 셋째주(19일 기준)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대비 0.21% 올랐다. 이는 지난 2015년 4월 셋째 주(0.23%) 이후 5년 6개월 만에 최대 오름폭이다. 이 기간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와 같은 0.08% 오르... 강남 아파트값 넉달만에 하락…서울 전셋값은 연속↑ 서울 부동산 시장의 바로미터인 강남 아파트값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반면 서울 전체 아파트의 전셋값은 전주보다 0.08% 오르는 등 68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5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10월 둘째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1% 올랐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정부의 부동산 안정화 대책 및 코로나발 경기위축 우려 영향 ... 다가오는 '월세시대', 서울 월세비중 전년비 2.1%↑ 계약갱신청구권제, 전·월세 상한제 등 임대차 2법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지난달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이 전년보다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반전세 비중은 2배 가까이 늘면서 기존 임대차 시장이 빠르게 월세시장으로 재편되고 있다. 1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전·월세 임대차 계약은 총 698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 들어 가장 적은 수치... 다가오는 이사철, 서울 전세값 고공행진 추석 연휴 이후 본격적인 가을 이사철이 다가오면서 서울 내 전세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임대차 2법(전월세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제) 시행과 더불어 3기 신도시 청약 대기수요 증가로 임대매물이 빠르게 줄고 있기 때문이다. 4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서울의 전세수급지수는 119를 기록했다. 이는 극심한 전세난을 겪었던 과거 2015년 10월(19일 기준, 125.2)에 근...